DOI QR코드

DOI QR Code

Possibility to Develop the Green Tourism in Conjunction with the Image of the Local Community: the case of Daejeon

지역 공동체 이미지와 연계된 녹색 관광 개발 가능성 연구 : 대전지역 사례

  • Received : 2011.07.06
  • Accepted : 2011.09.06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o develop the image of the local community in conjunction with green tourism, thus to explore the concrete ways to vitalize local community with diversified green tourism programs. In the pursuit of relating the research of community image-building with comprehensive lo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of Jung Bang I village near Daejeon and analyzed the case through both written materials and on-site investig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community image-building contribute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and its revitalization. Second, it was observed that community image-building led to form a "green route" that played a role as a passage to link townspeople to the country. It was also verified that those country villages that succeeded in image-building provided the places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the country and arts, which showed the potential of their roles as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be able to suggest the direction to where the green tourism and image-building projects of the small communities near towns should go, and also provide a substantial guideline to related people regarding how to operate and maintain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이미지를 녹색관광과 연계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여가 관광적인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여 보는데 있다. 지역 이미지화 연구를 종합적인 지역 연계성과 관련 지어 추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전 근교 정뱅이 마을 사례를 문헌연구와 현지 조사법을 병행하여 분석해 보았고, 외국의 성공 사례를 도입하여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의 이미지화는 지역 커뮤니티 공간의 상품화와 지역상생에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둘째로는 녹색 루트를 형성하여 도시인들에게 전원으로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도 관찰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미지화에 성공한 농촌 마을은 농촌 체험과 미술 작품 체험의 공간을 제공하여 교육적 기회의 장으로 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시 근교 소규모 지역 커뮤니티의 녹색관광개발과 이미지화 연계 작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관련 실무자들에게 지역 경영 및 관리방향에 대한 실절적인 지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P. Claval, La geographie culturelle, Paris: Nathan, 1995.
  2. J. Sarrkom Traditions of Sustainability in tourism studi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33, No.4, pp.1121-1140, 2006. https://doi.org/10.1016/j.annals.2006.06.007
  3. 김남조 지속가능한 관광자원개발계획 강릉:도서출판 동우, 2007.
  4. J. J. Rousseau, Du Contrat social, Paris: LGF-Livre de Poche, 1996.
  5. M. 야마자키, Y. 오야마, and J. 오오시마, 강신겸 역, 김정연 역, 녹색관광, 山崎光博.小山善彦.大島順子, グリ-ン, ツ-リズム, 서울:일신사, 1997.
  6. Baron-Yelles, N.France, Amenager et developper les territoires, Paris: La documentation Francaise, Coll. Documentation photographique, $n^{\circ}$8067, 2009.
  7. 강신겸, 농촌관광:새로운 농촌 활성화 전략, 서울:대왕사, 2007.
  8. C. Ghora-Gobin, Les espaces publics a l'heure globale: reinventer le sens de la ville, Paris: L'Harmattan, 2001.
  9.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서울:논형출판, 2005.
  10. P. Dubrule, Tourisme en France : les enjeux pour 2020, Paris; le cherche midi, 2005.
  11. P. Dujardin, Lyon, lumiere de Decembre, Revue Urbanisme, No.331, pp.64-66, 2003.
  12. 윤희정, 녹색관광 마을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CI통합계획, 한국조경학회지, Vol.34, No.2, pp.72-79, 2006.
  13. Yin. Robert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 Newburry Park. CA: SAGE Publication, 2003.
  14. P. Claval, La geographie comme genre de vie, Paris: L'Harmattan, 1996.
  15. 옥한석, 사진 예술 작품을 통한 지리 경관 읽기,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18, No.4, :pp.39-49, 2008.
  16. 마을 주민 인터뷰 대담 : 2010년 1-3월과 동영상 촬영.
  17. 이기진, 100년 뒤에도 살고 싶은 농촌 정뱅이 마을을 아십니까, 동아일보 (2009.2.11 기사), 2009.
  18. 이일열,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의 지역 관광자원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프랑스의 사례-, 관광연구, Vol.23, No.3, pp.447-469, 2008.
  19. P. Mathieux and M. Cougouliegne, Une promenade quifait son chemin, Les Cahiers de L'IAURIF, No.111, pp.103-113, 1995.
  20. J. D. Urbain, L' idiot du voyage: Histoire de touristes, Paris: Payot, 1993.
  21. Cazes G, Le tourisme en France. Paris: P.U.F(Coll. Q-S-j 2147), 2005.
  22. www.tourismeloire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