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thnography on Educational Activities of Three Middle Schools in Rural Area

농산어촌지역 교육의 특성과 문제점 분석 -세 학교에 대한 문화기술적 접근-

  • Received : 2011.08.05
  • Accepted : 2011.09.2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paper was to study characteristics of school types based on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This study tri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lementing the development of rural education policy for the community unit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administrative district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and selected three schools considering the gaps in size and location of rural community. The researcher interviewed teachers and parent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rural education, and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each rural school has its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by the school types corresponding to each rural community. Characteristics with school types were influenced by school location, possible migration into the cities, possible opportunities of private tutoring, school size, social class distribution, socio-economic status, dwelling pattern of school teachers.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hat the educational policies for rural area consider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ural schools.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철, 이두휴, 손승남, 오익수, & 송현종. (2002). 농어촌교육 진흥방안 연구. 목포: 전남교육연구소.
  2. 고형일, 이두휴, & 정환금. (1995).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교사의 교직문화의 비교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5(1), 1-37.
  3. 나승일, 정철영, 구자억, 박행모, 장호순, 김진구, 마상진, 조단비, & 문세연. (2006).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의 도농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요구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117-135.
  4. 나승일, 정철영, 구자억, 박행모, 장호순, 김진구, 마상진, 조단비, & 문세연. (2007).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탐색.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35-57.
  5. 남궁윤. (2006). 농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 연구. 미래교육연구, 13(1), 81-115.
  6. 박철희. (2009). 농산어촌 초등학교 교사.학생의 교육복지 요구 분석. 열린교육연구, 17(3), 233-260.
  7. 성주인, & 송미령. (2003).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농촌경제, 26(2), 1-22.
  8. 유수경. (2009). 농촌지역 중학생의 사교육 의존요인과 만족도 간의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동필, 박시현, 김태연, 성주인, 신은정, 김창현, & 김정홍. (2004). 도농 간 소득 및 발전격차의 실태와 원인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이두휴. (2004). 농어촌지역 학교의 교직문화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4(1), 69-99.
  11. 이두휴. (2011). 도시와 농촌 간 교육양극화 실태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1(2), 121-148.
  12. 이정선. (2005). 도 . 농 간 교육격차의 원인과 개선 방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1), 131-150.
  13. 이정환. (1987). 한국 농촌지역의 유형구분. 농촌경제, 10(4), 141-159.
  14. 이혜숙. (2008). 교실붕괴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연기. (2006). 한국 농촌교육 정책의 변천과 그 특성 및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4(4), 27-49.
  16. 장문효. (2009). 농촌지역 소규모학교에서의 방과후 공부방의 운영과정과 성과.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장효진. (2008). 도시와 농촌 초등학교 상담 실태 비교.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정지웅, 정명채, 이종엽, 진동섭, 구자억, 김혜숙, 최준렬, 정철영, 이정선, & 나승일. (2002). 농어촌교육 발전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2-14. 농어촌교육발전위원회.
  19. 최경환, & 마상진. (2009). 농촌학교 활성화 실태와 시사점.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최준렬. (2008). 농산어촌교육 재정지원정책 분석. 교육재정 경제연구, 17(2), 139-159.
  21. 한기화. (2009). 도시와 농촌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된 무기력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한만길, 박철희, 이광현, 조영숙, 이두휴, & 김숙이. (2009). 농산어촌 교육복지실태 분석 연구: 초.중학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3. Dewee, S., & Hammer, P. C. (Eds.) (2000). Improving Rural School Facilities: Design, Construction, Finance, and Public Support. Charleston, WV: AEL.
  24. Gibbs, R. M., Swaim, P. L., & Teixeira, R. (Eds.) (1998). Rur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New Economy: The Myth of the Rural Skills Gap.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5. Howley, C.B., & Eckman, J. M. (Eds.) (1997). Sustainable Small Schools: A Handbook for Rural Communities. Charleston, WV: A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