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농업과학원
References
- 강호정. (2008). 마을굿의 작은 축제화 방안 연구. 한국의 민속과 문화, 13, 5-21.
- 김선기. (2003). 향토자산활용 지역축제의 마케팅 전략. 서울지방행정연구원.
- 김의숙. (1998). 강원도의 축제와 영월의 단오문화제. 강원민속학, 13, 3-25.
- 김월덕. (2008). 정읍지역 마을굿의 지속과 변화의 전개양상. 국어문학, 45, 129-144.
- 김준기. (2008). 목계별신제의 정체성과 전개 양상. 한국의 민속과 문화, 13, 102-122.
- 김창민. (2009). 당제와 지역축제를 통해 본 마올 정체성의 변화. 민족문화논총, 42, 420-439.
- 김철원, 이석호, & 한국관광연구원. (2001). 문화관광축제 육성방안.
- 노승대. (1993). 마을축제. 도서출판 민학, 3.
- 박재철, 송광인, 박천창, 김현욱, 심재건, & 이기봉, (2006), 농촌마을 가꾸기 경진 대회 참여 마을의 농촌관광 성과분석. 농촌계획, 12(3), 107-115.
- 박흥주. (2002). 도시 마을굿의 축제성 전승 방안. 한국의 민속과 문화, 6, 219-259.
- 심규원, & 조덕호. (2009). 농촌지역축제의 만족도가 지역경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4), 249-264.
- 안종현.(2008). 마을축제를 통한 농촌관광마을 만들기. 문화관광연구, 10(2), 127-139.
- 안덕초, 신현정, & 김용근. (2010). 장소자산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 연구, 농촌관광연구, 17(1), 67-89.
- 이정진. (2006), 축제이벤트 콘텐츠 개발. 인문콘텐츠, 9, 371-404.
- 임묵, & 장인식. (2010). 대전지역 마을축제 활성화방안. 한국관광학희 2010학년도 대전국제학술포럼행사 및 워크샵, 155-170.
- 오진호.(2008). 남해안 별신굿의 변화양상 연구. 실천민속학연구, 12, 305-329.
- 오순환, & 김대우. (2004). 농촌활성화 수단으로서의 마을축제. 관광농업연구, 11(1), 141-153.
- 오순환. (1999). 문화관광축제의 연상도 차이. 관광학연구, 23(1), 212-227.
- 오순환. (2001). 한국의 전통축제와 놀이형태에 관한 고찰. 관광학연구, 25(2), 197-215.
- 유목화. (2008). 지역축제의 서사문학 활용과 그 의미. 공연문화연구, 17, 227-241.
- 윤동환.(2008). 초곡 단오굿의 전승 양상과 의의. 도서문화, 31, 153-191.
- 장양례, 윤유식, & 이기종. (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지역축제 개최에 따른 방문객 만족, 행동의도, 축제 개최효과에 관한 연구. 농촌광광연구, 16(4), 63-80.
- 장장식. (1996). 지역공동체와 축제. 한국의 지역축제, 49.
- 정형호. (2008). 마을 놀이문화의 전승양상에 따른 지속과 변용. 한국민속학, 47, 407-436.
- 차동욱. (2006). 농촌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지역마케팅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16(1), 245-264.
- 채용식. (1998). 태백지역 관광개발의 분야별 발전전략. 관광정책학연구, 4(2), 245-274.
- 홍태한. (2008). 서울 마을굿의 전승 현황과 유형 구분. 중앙민속학, 13, 255-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