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기질 및 성격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우울 수준의 차이

The Correlation between JTCI3-6 and Mother's SRI and BDI

  • 김지영 (제인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 이지현 (제인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 성원영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신경정신과) ;
  • 명성민 (중원대학교 의료정보학과) ;
  • 강형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교실) ;
  • 김지훤 (제인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Kim, Ji-Young (Dept. of Neuropsychiatry, Je-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
  • Lee, Ji-Hyun (Dept. of Neuropsychiatry, Je-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
  • Sung, Won-Young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o-Suk University) ;
  • Myoung, Sung-Min (Dept. of Medical Informatics, Jung-Won University) ;
  • Kang, Hyung-Won (Dept. of Neuropsychiatry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Ji-Hwon (Dept. of Neuropsychiatry, Je-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 투고 : 2011.08.03
  • 심사 : 2011.09.17
  • 발행 : 2011.09.30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at correlation between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3-6) and Mother's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Methods : We investigated 48 cases of 3-6 year old infants. Mothers of infants answered that questionnaire about temperament, character of infants and stress, depression of themselves. JTCI3-6 and SRI, BDI were used to get to know that answers. Results : Infants of mothers with high stress levels were lower than infants of mothers with low stress levels in cooperativeness. Infants of mothers with high depression levels were lower than infants of mothers with low depression levels in cooperativeness. Stress of mothers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cooperativeness in temperament of infants. Depression of mothers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cooperativeness in character of infants. Conclusions : Stress and depression of mothers were negative correlated with cooperativeness in character of infa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오현숙. 유아의 기질 및 성격, 어머니의 만족도와 양육행동의 관계 : 유아의 자율성과 연대감발달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2006; 11(2):211-26.
  2. 김미예, 박동영.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언어적 학대. 아동간호학회지. 2009;15(4):375-82
  3. Gove WR, Hughes H. Possible causes of apparent sex differences in physical health: An empirical investigation. American Social Review. 1979;126-46.
  4. 서정민, 이유진, 윤혜진, 강미선, 백정한. 소아의 사상체질별 신체 특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zema21을 통한 체질분석 및 체성분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9;23(1):173-93.
  5. 임재택, 김미경. 사상체질별 유아들의 행동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 유아교육논집. 2001;10:1-25.
  6. 한미라. 사상체질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4;3(1):71-102.
  7. 박진아, 이경숙, 신의진. 모-자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2009;14(4):549-66.
  8. 민병배, 오현숙, 이주영. 기질 및 성격검사 매뉴얼. 서울:(주)마음사랑. 2007:6,15-33.
  9.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000;39(4):707-19.
  10. 고려대학교부설 행동과학연구소. 심리척도 핸드북1. 서울:학지사. 2004:419-24.
  11. 박진아.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계 관련 연구. 놀이치료연구. 2011;15(1):43-56.
  12. 최인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007;26(3):611-28.
  13. 한세영, 박성연.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적 조화/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 아동학회지. 1996;17(1):245-58.
  14. Mercer RT. The process of maternal role attainment over first year. Nursing Research. 1985;34:198-203.
  15. Hedwig JA, Bakel V, Riksen-Walraven JM. Parenting and development of one-year-olds: Links with parental, contextual, and child characteristics. Child Development. 2002;73(1):\256-73. https://doi.org/10.1111/1467-8624.00404
  16. 김민아, 이재신. 어머니 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부적응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04;24(5):145-66.
  17. 吳漢均, 金德坤. 育兒法의 文獻的 考察.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4;8(1):81-9
  18. 고병희, 김경요, 김달래, 김종원, 김진성, 박성식, 송일병, 송정모, 이의주, 장현진, 전진상, 조황성, 최용준, 한주석, 홍석철, 황성록. 사상의학. 서울:집문당. 2001:493.
  19. 모인선, 김희연. 유아의 성격, 부모 만족도와 양육태도의 관계. 아동교육. 2005;14(1):131-44.
  20. 안정숙, 채규만. 스트레스, 성격특성과 우울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자기주도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2007;12(4):813-32.
  21. 김 연, 황혜정.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08;28(3):2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