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nical Study of the Kamibojungikgi-tang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Allergic Rhinitis in 10-11 Years Old Children

가미보중익기탕(加味補中益氣湯) 투여(投與)와 피내침(皮內針) 시술(施術)을 병용(幷用)한 소아(小兒)(10-11세) 알레르기비염 환자(患者)의 치료효과(治療效果)에 관한 임상연구(臨床硏究)

  • Kim, Koang-Lok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Park, Dong-Il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am, Chul-Woo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Lee, Seung-Yeon (Dep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Park, Seong-Ha (Dep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Ju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Nam, Woo-Ji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Lee, Seung-Yeo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김광록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박동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감철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이승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 교실) ;
  • 박성하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 교실) ;
  • 이영준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남우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이승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Received : 2011.08.23
  • Accepted : 2011.09.14
  • Published : 2011.09.27

Abstract

Objectives : Kamibojungikgi-tang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dical treatment for the allergic rhinitis. The main symptoms of the allergic rhinitis are nasal obstruction, watery rhinorrhea, and sneez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dical effect of the Kamibojungikgi -tang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allergic rhinitis in 10-11 years old children. Methods : For 8 weeks, we administered Kamibojungikgi-tang to 84 patients and treated them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We checked their serum IgE and examined 10 symptoms of the allergic rhinitis (nasal obstruction, watery rhiorrhea, sneezing, nasal pruritus, hyposmia, quality of life, color of nasal mucosa, edema of nasal mucosa, postnasal drip, and complication). Results : 1. Serum IgE decreased 2.62 point. which showed no significance. 2. Nasal obstruction, watery rhiorrhea, sneezing, nasal pruritus, hyposmia, quality of life, color of nasal mucosa, edema of nasal mucosa, and postnasal drip were improved. (p<0.005) 3. Complication showed no significance. Conclusions : After treatment, we had a lower symptom index scores. Kamibojungikgi-tang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treatment had an effect on the allergic rhinitis.

Keywords

References

  1. 丁奎萬. 알레르기와 한방. 서울 : 도서출판 제일각. 1993 : 89.
  2. 하대유. 그림으로 본 면역학. 서울 : 고문사. 1994 : 179-85, 288-9, 291-2, 296-7.
  3. KASPER 외. HARRISON's 내과학. 서울 : 도서출판 MIP. 2006 : 2133.
  4. 안희영. 최신임상이비인후과학. 서울 : 군자출판사. 2005 : 120.
  5. 干組望. 干氏咽喉口腔科學, 江蘇城: 江蘇科學技術出版社. 1999 : 628-9.
  6.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박은정, 백정한, 이승연, 이진용, 장규태. 동의소아과학. 서울 : 정담. 2002 : 280-1, 654-9.
  7. 李杲. 東垣十種醫書. 서울 : 대성문화사. 1983 : 35-7, 86-7.
  8. 樓英. 醫學綱目. 북경 : 중국중의약출판사. 1996 : 598, 601-9.
  9. 李尙仁, 康蕣洙. 方劑學. 서울 : 형설출판사. 1979 : 38-40.
  10. 許浚. 東醫寶鑑. 서울 : 법인문화사. 1999 : 1140.
  11. 최형주. 黃帝內經靈樞. 서울 : 자유문고. 2004 : 209-10.
  12. 安榮基. 經穴學叢書. 경기 : 성보사. 1986 : 104-5, 134-5.
  13. 김종성, 심성용, 엄유식, 남혜정, 김경준. 보중익기탕이 알레르기 비염 유발 백서의 과립구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학회지. 2004 ; 17(1) : 66-74.
  14. 金宣旼. 補中益氣湯이 알레르기 鼻炎생쥐 모델에서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5.
  15. 조철준, 남효익, 김동웅, 박양춘, 이정은, 한영주, 임도희, 황지호, 김진원, 배경연. 가미보중익기탕으로 치료한 만성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의 호산구와 자각증상 수치변화에 대한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 ; 26(2) : 467-74.
  16. 정순형, 서형식. 보중익기탕가미방을 투여한 비염환자 50예에 대한 분석.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6 ; 19(2) : 233-41.
  17. 최원구.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18. 황순이, 황보민, 임진호, 지선영, 김상찬, 백정한, 이상곤. 비염의 평가 방법에 대한 제언 ; 비교 분석 및 설립.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 ; 20(1) : 235-44.
  19. Borish L. Allergic rhinitis. Systemic inflammation and implication for management. J Allergy Clin Immunol. 2003 ; 112 : 1021-31. https://doi.org/10.1016/j.jaci.2003.09.015
  20. 대한 알레르기 학회. 4천만의 알레르기. 서울 : 소화. 1993 : 133-61.
  21. 전국의과대학교수. 오늘의 진단 및 치료. 서울 : 한우리. 1999 : 259-60.
  22. 노석선. 원색안이비인후과학. 서울 : 일중사. 1999 : 65-7.
  23. 王氷. 신편황제내경소문. 서울 : 대성문화사. 1994 : 170, 507, 580.
  24. 김달호. 黃帝內經靈樞. 서울 : 의성당. 2002 : 674.
  25. 成樂箕. 難經解釋. 서울 : 高文社. 1990 : 25-6.
  26. 王凍應. 中醫耳鼻咽喉科學. 北京: 科學出版社. 1993 : 132-6.
  27. 신길구. 신씨본초학. 서울 : 수문사. 1988 : 1-20, 80-4, 112-4, 223-5, 238-40, 253-4, 725-8.
  28.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鍼灸學下. 경기 : 집문당. 2008 : 243-6.
  29. 한의과대학침구경혈학교실. 침구학. 서울 : 집문당. 1994 :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