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 of User'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Outdoor Signboards throughout the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

대전지역 간판 개선 사업을 통한 옥외 간판 만족도 조사

  • Received : 2011.05.02
  • Accepted : 2011.06.16
  • Published : 2011.06.28

Abstract

Recently, City has contributed to the various and convenient environment by public design projects. These projects have grown very attentive to the outdoor signboards in cities. From this background, th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have driven to the outdoor signboards through the city street scenery improvement projects. These the outdoor signboards improvement projects are strengthen the city's aesthetic function and city street scenery. In this research, we survey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outdoor signboards for shop which were engaged in this project and citizen by t-test method. We surveyed 30 stores and 41 citizen for the outdoor signboard's aesthetic function, a reflection of region and store's properties and communication effects. From our results, we researched the variou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he outdoor signboards improvement projects. Stores owner and citizens did not satisfy the outdoor signboards improvement projects. From our research, in order to advertise the city's aesthetic function and to create our own unique outdoor signboards culture, a variety of tools and intensive cases are demanded,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the outdoor signboards improvement projects must revitalized.

최근 들어 도시의 공공디자인을 통해 다양하고 편의적인 환경이 적용되고 있다. 그중 하나인 도심에 산재되어 있는 다양한 옥외 광고물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정부를 비롯하여 각 지자체에서 도시가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간판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심의 간판 정비사업은 도시의 심미적 기능을 고도화 시키고 도시가로환경의 정돈되고 활력 있는 모습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간판정비사업을 수행한 지역을 선정하여 간판정비사업을 참여한 업체와 그 업체를 이용하는 일반 시민들의 만족도를 t-검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간판정비사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업소 30개 및 일반 시민 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간판정비사업을 통해 간판의 심미적 기능에 대해서 만족도가 낮았으며, 지역 및 업소 특성의 반영 여부, 정보전달 효과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업소뿐 만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간판개선사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추후 진행되는 간판개선사업 뿐만 아니라 도시문화를 창조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어야 하겠다. 앞으로 이러한 옥외간판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와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용목, 아무 날의 도시, 시인세계, 봄호, 2009.
  2. 제일기획, 95SP 미디어 가이드 북, 제일기획미디어팀, 1995.
  3. www.oaaa.org
  4. 서범석, 옥외광고학 원론, 도서출판 위드북스, 2004.
  5. 이정교, 옥외광고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옥외광고물 연구, Vol.1, No.2, 2004.
  6. 심성욱, 옥외광고 법제와 정책방향, 한국언론재단편, "옥외광고의 효과와 유통구조, 제3장, 2006.
  7. 김민수, 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솔, 1997.
  8. 최창화, 국내은행 간판디자인의 환경변화에 따른 시각적 분석연구 : 196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눈문, 2008.
  9. 박영운, 새로운 도시문화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과제, 옥외광고학연구, 제6권 3호, 2009.
  10. http://media.hangulo.net/392
  11. 서울시 도시경관과, 서울시 옥외광고물 관리 기본 방안 연구보고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소, 2002.
  12. 주성일, 도시경관요소로서 상업간판의 효율증대를 위한 미적기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13. http://www.daejeo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