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타이포그래피 미디어(이모티콘)의 소통과 공공성

Typography Media(Emoticon) for the Public Service and Communication

  • 투고 : 2011.02.14
  • 심사 : 2011.05.03
  • 발행 : 2011.06.28

초록

미디어의 발전 속에서 문자의 사용은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해왔다. 인터넷과 모바일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디지털 환경에서 문자언어의 새로운 역할인 시각화와 감정전달이 대두되었다. 의사소통의 편의성을 위한 도구의 한 부분으로 생겨난 이모티콘은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소통문화의 효과적 역할을 한다. 특히 창제 원리상 소통과 나눔의 의미를 내포하며, 단순명료한 형태적 특성을 갖는 한글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한글 이모티콘은 그 구조적, 조형적 특성으로 인해 조합과 활용에 편리하여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중요한 시각적 요소의 역할을 한다. 한글 이모티콘은 우리 한글문화의 한 부분이며 매체의 발달에 따른 시각언어의 글로벌화 현상에 비추어 볼 때 국제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의 가능성도 충분하다. 개인미디어의 보편화와 미디어의 주체적 사용자의 변화 속에서, 타이포그래피 미디어의 한 부분인 한글 이모티콘의 활용증가와 공공성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he use of character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Specially, it has been emerged the functions of written language of visualization and delivery of emotion in the digitalized environment due to speedy growth of internet and Mobile. The emoticons emerged as a tool for the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proved to have taken effective role in the part of communication culture. Particularly, Hangul emoticons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sharing in tandem with the principle of Hangul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in combination & use due to its structural and design characteristic for which it plays a significant role of visual element. Hangul emoticon is definitely a part of Hangul culture and in view of globalization of visual language in connection with media development, there is a huge potential being to be used as 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ool. In this study, it will be reviewed on the increased utilization of Hangul emoticons and related public issues as being a part of typography media, in view of the generalization of private media as well as change of subjective user.

키워드

참고문헌

  1. 조창연, "인간커뮤니케이션의 모델 구축을 위한 인지기호학적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1-1호, 2003.
  2. 이호규, "주체형성 장치로서의 가상공간과 커뮤니케이션 모델 : 르페브르와 푸코의 논의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27권, 2호, 2010.
  3. 이두원, "기호현상학적 휴먼커뮤니케이션 모델구축에 대한 이론적 연구 : 커뮤니케이터, 커뮤니케이팅, 커뮤니케이티드", 한국언론학회 '95 가을철 학술 발표회, 1995.
  4. 전광실, "한글 이모티콘과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와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Vol.9, No.1, p.658, 2008.
  5. 김명지, "한글을 모티브로 한 현대미술작품에 관한 연구-한글창제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Vol.16, No.2, p.109, 2010.
  6. 안병학, "한글 창제 철학에 담긴 공공정보디자인적 특성",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72호, Vol.20, No.4, p.295, 2007.
  7. www.hangeulmuseum.org

피인용 문헌

  1. Evaluating Pre-defined Kinetic Typography Effects to Convey Emotions vol.17, pp.1,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4.17.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