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색채프로그램과 예능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생의 심리변화

Psychological Changes of Undergraduate using Color Programs and Entertainment Programs

  • 김미경 (성신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 투고 : 2011.02.14
  • 심사 : 2011.03.30
  • 발행 : 2011.06.28

초록

본 연구는 예능프로그램을 시청한 후 색채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심리상태(강박증, 불안 및 적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색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심리상태(강박증, 불안 및 적대감)는 사전 검사치보다 사후 검사치 모두 95% 통계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 통제집단을 그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예능프로그램을 시청한 후 색채프로그램을 참여한 대학생들의 색채표현에서 빨강색과 파랑색의 지각이 폭넓게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흰색의 이성과 검정의 억압에서 현재 해야 할 일에 대한 책임감을 갖는 변화과정이라고 해석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예능프로그램을 시청한 대학생들의 심리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색채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은 의미 있다고 본다.

This study will be conducted to verify that color programs and entertainment programs affect undergraduates' psychology(Obsessive-compulsive, anxiety and host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psychology(Obsessive-compulsive, anxiety and hostility) participated in color programs than did all the pre-investigation levels decreased post-mortem examin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95% appeared to be. Second, after watching entertainment programs, pass through cognition process of color, undergraduates' color representation worked perception of red and blue respectively. This results is that the reason of white and the suppression of black what to do now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can be considered as a change process. In conclusion, after watching entertainment programs take advantage of color programs that a positive impact on undergraduates' psychological state, as they can provide bright colors with a variety of ways that make sense to sugges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희,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식된 현실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1-24, 1995.
  2. 권명광, 신항식, 광고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 문학과경계사, 2003.
  3. 권영, "텔레비전 리포터에 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9-47, 2000.
  4. 임선희, "우울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향상을 위한 예술치료의 효과 연구 -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관점으로", 명지대학교 예술치료학과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19, 2007.
  5. 김윤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5-17, 2003.
  6. 정용국, "학생들의 정서적 각성이 팝업(pop-up)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방송문화연구, 제19권, 제2호, pp.123-150, 2007.
  7. 유진숙, "색명과 기억색에 관한 조사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5-51, 1986.
  8. 김미경, 사례를통한 색채치료, 학림사, 2010.
  9. 김경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26-46, 2006.
  10. 전환성, "영상 메시지의 색상변화에 따른 뇌 반응 특성 연구",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제31권, 제1호, pp.163-193, 2009.
  11. 손병돈, "영상의 정신분석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35-49, 2008.
  12.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 요강 ", 중앙적성연구소, 1984.
  13. 정혜진, "영화 '올드 보이'의 색채상징 의미 분석", 한국색채디자인학연구, 제1권, 제1호, pp.5-14, 2005.
  14. 원호택, 이민규, 조용래, "대학생 강박집단의 위협자극에 대한 선택적 정보처리", 한국 심리학회지임상, 제7권, 제1호, pp.110-127, 1988.
  15. 김진한, 색채의 원리, 시공사, 2002.
  16. 이윤경, "표현주의 미술의 색채심리와 심리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9-69, 2010.
  17. 김미라, "리얼리티 데이트 프로그램 시청이 데이트와 이성 관계에 대한 시청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2호, pp.355-368, 2007.
  18. 최중은, "TV 오락 프로그램의 엿보기 카메라 활용방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8-52, 2002.
  19. 박은숙, "Color Therapy의 임상적 적용과 효과", 가정의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25-231, 2003.
  20. 임인섭, "초기 청소년의 정서능력과 뇌 정보처리특성이 외형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감성과학, 제9권, 제4호, pp.307-319, 2006.
  21. 김정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수용특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9-32, 2005.
  22.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 출판부, 2002.
  23. 박영원, "시각적 유머의 생산과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65-87, 2001.
  24. 박주연,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 한국언론재단, 2005.
  25. 윤호균, "심리상담의 치료적 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13, 2005.
  26. 김은경, "온마음 집단상담의 치료기제에 관한 연구: 공상의 자각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44-61, 2006.
  27. http://www.imbc.com
  28. http://www.k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