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tivation Programs of Temple Sta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템플스테이 활성화방안 -템플스테이 체험전·후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 신현규 (경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
  • 신홍철 (경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 Received : 2011.03.23
  • Accepted : 2011.08.09
  • Published : 2011.08.28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tourism the desire for a variety of tours for visitors was occurred. Accordingly, to meet the needs of tourist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ourism products i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occurrence of environmental problems needs to develop enviromental tourism products. In this study refocus on rapidly developed templestay and difference of life quality between before experienced templestay and after experienced templestay as product development of low-carbon green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of age, they satisfacted temples experience like meditation, tea ceremony and Buddhist cultural experience. 11 questions of life quality, 9 item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in it will be useful temple stay was used.

관광의 발달과 더불어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관광상품에 대한 욕구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광객들의 욕구충족을 위한 여러 관광상품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환경적인 문제의 발생과 더불어 환경을 고려하는 관광상품의 개발이 대두되었으며, 이를 혼합한 관광상품의 발전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템플스테이를 재조명해보고, 관광객들의 템플스테이 체험전과 체험후의 삶의 질의 차이를 통하여 저탄소녹색상품으로의 발전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템플스테이 이용객을 대상으로 템플스테이 이용전과 이용후의 삶의 질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참선, 다도 등의 사찰 체험과 불교문화체험에 만족을 하고 있었으며, 삶의 질을 묻는 11개문항 중 2개의 문항을 제외한 9개의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템플스테이 이용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정원, "녹색성장을 위한 산촌지역의 산림탄소 순환마을 조성방향", 유기물자원화, 제18권, 제2호, pp.13-21, 2010.
  2. I. Logar, "Sustainable tourism management in Crikvenica, Croatia: An assessment of policy instruments," Tourism Management, Vol.31, pp.125-135, 2010. https://doi.org/10.1016/j.tourman.2009.02.005
  3. 문화관광부, 관광통계 전통사찰현황, 2010a.
  4. 문화관광부, 2009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0b.
  5. 배만규, 박상훈, "청각장애인의 관광활동 만족이 삶의 질과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3권, 제2호, pp.185-205, 2008.
  6. 전영록, 박상훈, "장애인의 관광활동 유형별 자기지각 삶의 비교: 청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 비교", 관광연구, 제23권, 제4호, pp.375-396, 2009.
  7. 김선영, 장병주, 이준, "생태관광동기, 여가만족, 삶의 질의 영향관계 연구", 관광연구, 제22권, 제2호, pp.59-76, 2007.
  8. 김의근, 신광홍, 송재호,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웰빙 및 삶의 질 인식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3권, 제6호, pp.111-130, 2009.
  9. 김성진, 저탄소 녹색관광자원 개발 가이드라인 수립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10. 이지훈, 신창목, 강희찬, 도건우, "녹색성장시대의 도래", CEO Information, 제675권, pp.1-14, 2008.
  11. T. G. Ko, "Development of a tourism sustainability assessment procedure: a conceptual approach," Tourism Management, 제26권, pp.431-445, 2005. https://doi.org/10.1016/j.tourman.2003.12.003
  12. 송광인, 한국의 녹색관광에 관한 연구, 2004.
  13. G. McBoyle, "Green tourism and Scottish distilleries," Tourism Management, Vol.17, No.4, pp.255-263, 1996. https://doi.org/10.1016/0261-5177(96)00017-9
  14. 최승묵, 문화 및 생태.녹색 관광자원 개발사업제도 개선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15. http://www.templestay.com
  16. 허갑중, 전통숙박시설 육성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17. 김철원, 윤혜진, "대안관광으로서 템플스테이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제29권, pp.130-148, 2008.
  18. 이현주, 이미나, 최인수, "한국 청소년 안녕감 척도(K-WBSA)의 타당화 및 삶의 질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1호, pp.301-315, 2008.
  19. 박영신,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4호, pp.801-836, 2008.
  20. 남미애, "청소년 쉼터 및 가출유형에 다른 가출청소년의 이용만족과 삶의 질 차이",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6호, pp.89-120, 2008.
  21. 배나래, 박충선,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761-779, 2009.
  22. 정미영, 심미영, "이용시설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로그램 참여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539-1557, 2009.
  23. 이지현, 강형곤, 정우식, 채유미, 지영건,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143-156, 2008.
  24. 이경주, 이기령, 양수, 전원희,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73-280, 2008.
  25. 김봉선, "장애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 사회복지정책, 제29권, pp.5-28, 2007.
  26. 이창미, "장애아 가족과 비장애아 가족 삶의 질 관련요인 비교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1권, 제1호, pp.69-92, 2006.
  27. 이승범, "충북지역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여가스포츠 참여 및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심으로", 한국관광.레저학회 제36차 정기학술대회.충북국제관광학술대회발표논문, pp.285-302, 2010.
  28. K. J. Young and A. J. Longman, "Quality of life and persons with melanoma: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Vol.6, pp.219-225, 1983.
  29. A. F. Lehman, Quality of Life Interview: Core Version Manual. University of Maryland. Center for Mental Health Service Research, 1983
  30. A. P. Campbell, E. Converse, and W. L. Rodger,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 and Satisfaction, Russell Sage Foundation. New York, 1976.
  31. M. T. M. Sastre, "Lay conceptions of well-being and rules used in well-being judgements among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47, pp.203-231, 1999. https://doi.org/10.1023/A:1006989319411
  32. 박승희, "한국장애인의 삶의 질의 측정도구 개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37권, 제2호, pp.41-78. 2002.
  33. E. Diener, R. A. Emmons, R. J. Lars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34.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35. 정윤조, 전병길" 템플스테이 체험의 여가심리학적 모형", 관광학연구, 제33권, 제2호, pp.99-12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