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탄소 녹색성장

Search Result 33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저탄소 녹색성장'

  • Won, Hui-Ryong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6
    • /
    • pp.26-29
    • /
    • 2009
  • '저탄소 녹색성장', 우리에게는 너무나 생소한 말이지만 이미 선진국에서는 국가미래전략으로 채택하여 구체화시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그렇다면 '저탄소 녹색성장'은 무엇이고 각 국이 이를 미래 전략으로 채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 우리나라는 어떻게 '저탄소 녹색성장'을 펼쳐나갈 것이며, 기업과 우리 국민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짚어본다.

  • PDF

포장과 법률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05
    • /
    • pp.91-109
    • /
    • 2010
  • 정부는 지난 달 6일 국무회와해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안)을 의결하였다. 이번 시행령은 작년 12월 29일 국회를 통과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것으로 총 7개장, 44개 조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번 시행형 제정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법령상의 체계를 정비하였다는 것뿐만 아니라, 법에서 규정한 각종 지원제도와 지난해 발표한 중기 감축목표의 이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실행모드에 진입한 녹색성장이 더 큰 탄력을 받을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주요 내용과 함께 시행령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Special News - ESCO협회, 녹색교육기관 인증 받고 ESCO교육의 산실이 되다

  • Seo, Hui-Jeong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6
    • /
    • pp.74-75
    • /
    • 2012
  •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는 미래 국가성장동력인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효율적으로 전파하고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전국 공무원훈련기관, 공공교육훈련기관, 민간교육훈련기관을 대상으로 '2012년 녹색교육기관'을 공모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안) 제 2조 2호에 따르면, 녹색성장이라는 의미는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환경훼손을 줄이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는 등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녹색성장기관은 이러한 기본법을 바탕으로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한 다양한 에너지관련 정책 및 이슈를 넓은 범위로 전파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보다 친숙하게 접하게 하자는 취지에서 지난 2010년 교육기관 지정을 시작하였으며, 2010년 48개, 2011년 16개, 2012년 11개 총 75개 기관이 녹색교육기관으로 지정 받아 활발한 교육활동을 벌이고 있다.

  • PDF

A study of joint development strategies of recognition and collaboration about green growth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ompany in Dae-gu and Kyoung-buk Area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지도 향상 및 협업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Ahn, Sang-Hun;Kang, Eun-Gu;Lee, Sun-Kyu;Bae, Jung-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
    • /
    • pp.39-48
    • /
    • 2012
  • Under the effectuation of Green growth from last year, It was surveyed in this study that how recognize of local government and companies in Dae-gu and Kyoung-buk Area.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see the present situation, the perception and influence to the Green growth was surveyed and analyzed. The result was that local government and companies were big differences in many items between the compared companies which are differen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was suggested what and how the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have to do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Green growth and make a new business chances.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산업.기술 육성 II

  • 한국기술사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79
    • /
    • pp.14-29
    • /
    • 2009
  • 최근 세계 경제는 사상 유래를 찾기 힘든 경제위기에 홍역을 앓고 있다.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가격은 수급불균형과 정치적 이슈, 그리고 투기자본의 유입이 어우러져 급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국제사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기후변화협약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진국들은 배출권 거래제도 시행, 탄소세 도입 등을 통해 본격적인 환경 무역시대가 도래에 대비하고 있으며,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도 본격화 되고 있어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 자원 환경위기의 시대에 녹색성장은 불가피한 선택이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탄소포인트제도 도입과 10대 녹색기술 산업 육성, 그린 뉴딜을 통한 녹색일자리 4만 3천개 창출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또한 저탄소 녹색성장의 한 주축으로 신재생 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의 확대를 통해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폐기물에너지화, 기후변화대응, 환경산업육성 등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끌 사업과 '경제 살리기'에 역점을 두고 2009년도에는 환경부 소관예산 '08년 예산 3조 5,914억원 대비 5,008억원(13.9%) 증액된 총 4조 922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지난호에 이어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자원 기술 육성II로 주제를 잡고 "온 국민이 참여하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 추진", "녹색성장 정책 추진에 있어 기업체 지원방향",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가정에서 온실 가스 줄인만큼 혜택받는 탄소은행"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업계소식 - LPG 자동차의 연비 특성

  • 한국자동차환경협회
    • LP가스
    • /
    • v.21 no.6
    • /
    • pp.10-15
    • /
    • 2009
  • 21세기의 이슈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녹색성장'입니다. 정부 역시 '저탄소 녹생성장'을 향후 60년 비전으로 제시하여 에너지 위기와 경제위기를 동시에 타개해 나가겠다고 선포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지자체 기후변화대응 강화, 탄소포인트제 실시, 폐기물 에너지 자원화, 저탄소형 소비 생산 문화 확산, 온실가스감축 실천프로그램, 저탄소 자동차 보급 확대 등 10대 중점과제를 선정하여 단계별로 추진 중입니다. 지금부터는 고유가 시대에 저렴한 연료비로 관심을 바도 있는 LPG차량(완성차, 엔진개조차량 포함)의 연비 특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