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f mental health and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학업소진의 단기종단연구

  • Received : 2011.06.08
  • Accepted : 2011.08.16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is is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nges in mental health and academic burno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tudy sample consisted of 40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provision, with 161 male, 216 female, and 32 unidentified. Both Symptom Check List(SCL-47)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MBI-S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pattern of changes in mental health and academic burnout among students, standardized residuals were calculated using regression equations which were then put into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Function 1, among sub-factors of mental health, decreases in depression, compulsion, anxiety, and hostility were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exhaustion and cynicism among academic burnout. Put in another way, students who showed increases in depression, compulsion, anxiety, and hostility experienced more academic exhaustion and cynicism. Second, according to Function 2, increases in phobic anxiety, compulsion with decreases in anxiety,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 in academic exhaustion and increase in cynicism. Considering Russell's dimensional theory of emotion, Function 1 showed that mental health symptoms including both aroused and non-aroused affects were related with increases in exhaustion and cynicism while Function 2 showed that mental health symptoms including only aroused aspects were related with decrease in exhaustion and increase in cynicism. Thus, a conclusive intervention program seems to be required to deal with both aroused and non-aroused affects of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increased exhaustion and cynicism. On the other hand, an intervention program focused on aroused affects seems appropriate to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decreased exhaustion and increased cynicism. This study has its value in that it has enhanced understanding of students in school and counseling settings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health and academic burnout among adolescents and suggested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patterns of students' academic burnout.

본 연구는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학업소진의 변화 간의 관계를 살펴본 단기종단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중학교 남학생 161명, 여학생 216명, 성별무응답 32명으로 총 409명이며, 측정도구는 간이정신진단검사 척도(SCL-47)와 학업소진 척도(MBI-SS)를 사용하였다.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학업소진에 있어서 개인 내적인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방정식을 통해 표준화된 잔차를 산출하였고, 이를 변화량으로 사용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수 1에서 정신건강의 하위요인들 가운데 특히 우울, 강박, 불안, 적대감이 모두 함께 감소할 때는 학업소진의 하위요인 중 탈진과 냉소가 함께 감소하였다. 다시 말해, 우울, 강박, 불안, 적대감의 증가는 학업 탈진과 냉소의 증가와 관련성 있게 나타난다. 둘째, 함수 2에서 정신건강 하위요인들 가운데 강박은 증가하면서 불안과 우울이 감소할 때는 탈진은 감소하고 냉소는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러셀의 정서차원 이론에 적용해 보면, 중학생의 정신건강에서 비각성과 각성영역의 두 차원 모두의 증상이 증가할 때엔 학업 탈진과 냉소가 함께 증가하였으며, 각성 영역에서 공포불안과 강박이 증가하고, 또 각성 영역의 불안과 비각성 영역의 우울이 감소할 때엔 탈진은 감소하고 냉소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 탈진과 냉소를 함께 경험하는 중학생들에게는 각성 정서와 비각성 정서에 대한 종합적인 개입이 필요하고, 탈진은 감소하고 냉소만 증가하는 중학생들에게는 각성 정서의 완화에 초점을 둔 개입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학업소진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학교와 상담 현장에서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차별화된 상담개입방법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0-327-B00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