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Female Undergraduates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A Grounded Theory Based Approach

남성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자대학생들의 직업결정과정: 근거이론 접근

  • Received : 2011.07.26
  • Accepted : 2011.09.2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 Korea, recent women's educational standard is more higher than any other period but rate of using human resources is the lowest level among the OECD nations. As the reason of this phenomenon, the career choice attract attention. Traditionally, job is classified female-dominated job from male-dominated job, and most women still avoid male-dominated job. If this unequal concentrated phenomenon is relieved, diversity using of human resource will be available. For the purpose, this study try to determine the experience structure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female undergraduate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and to determine factors that work negative or positive on the process to use for the career consult. Grounded theory based data analyses resulted in 61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from the recorded data of 8 female undergraduates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The core category was "For the special life, keeping challenging with the will". A paradigm model consist of the casual condition, central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 intervening condition, actions/reactions and the result was proposed. And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five stages with time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stage of awareness about the trait and aspiration, the stage of internal determination, the stage of support and accept, the stage of challenge and overcome, and the stage of affirmation and confidenc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우리나라는 여성의 교육참여율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은데 비해 인력활용율은 OECD국가 중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렇게 고학력 여성인력의 활용률이 저조한 원인으로 진로상담영역에서 '진로선택'과 관련된 원인에 주목하였다. 전통적으로 직업을 여성중심 또는 남성 중심 직업으로 분류할 때 아직까지도 많은 여성들이 남성중심 직업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편중현상을 해소해야만 다양한 인력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성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대생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경험구조 및 직업결정 과정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부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들을 밝혀 여성 진로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남성중심적 직업을 선택하며 취업준비중인 대학교 3학년 이상 여학생 8명을 심층면접한 녹음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1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들을 토대로 핵심범주인 '특별한 삶을 위해 의지를 갖고 도전해 나가기'가 도출 되었다. 또한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결과를 구분하였다. 과정 분석을 통해 기질과 포부 인식 단계, 내적결의 단계, 지지와 수용 단계, 도전과 극복의 순환 단계, 긍정과 확신의 단계로 총 5 단계의 직업결정 과정이 밝혀졌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에 대해 언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