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상현실에서 Haptic 디바이스를 활용한 난타 음악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Nanta Music using a Haptic Device in Virtual Reality

  • 고영혁 (동신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투고 : 2011.06.23
  • 심사 : 2011.08.12
  • 발행 : 2011.08.31

초록

본 논문은 난타 음악과 상호작용하는 햅틱 포스 피드백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했다. 촉감처리기술을 포함하는 VR기술과 사용자에게 원기둥 객체들과 컵 객체의 터치를 제공하는 햅틱 디바이스를 사용했다. 햅틱 디바이스는 VR 공간에서 터치 모델을 이용하는데 활용되었다. 실험을 위한 Matlab/Simulink와 Handshake의 proSENCE Virtual Touch Toolbox는 프로그램 툴로 사용되었다. 각각 x, y, z축의 움직임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함수는 3D로 모델화한 컵속에 물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묘사하도록 적용했다. 컵속의 정해진 물의 양은 다른 소리를 갖는다. 실험에서 3D 객체의 외형을 인지하는 것과 터치에 의해서 촉감을 느끼는 것은 Haptic의 인지와 함께 난타음악과 연결하여 표현되었다. 또한, 포인터를 활용해서 VR공간에서 게임이나 콘텐츠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exploiting haptic force-feedback technology for interacting with Nanta music. We use VR technologies including touch processing technologies and haptic devices to offer touch of cylinder objects and cup object to users. Haptic device is used to implement touch model in VR space. Matlab/Simulink and proSENCE Virtual Touch Toolbox of Handshake Inc. for experiment, are used as programing tools. Function needed to describe the movement of x, y, and z axis respectively are applied to delineate the natural movement of water in cup object modeled with 3D.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cup object has the difference of sounds. In experiment, to perceive the appearance of 3D object by touch and to feel the tactile by touch are conducted with the effect of sound on Haptic perception. We also verify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games or contents in VR space by using point.

키워드

참고문헌

  1. Sensable Technology, http://www.sensable.com.
  2. Toshio Asano et al., "Surveys of Exhibition Planners and Visitors about a Distributed Haptic Museum," in Proc. ACE 2005, pp. 246-249, 2005.
  3. D. Gaw, D Morris., and K. Salisbury, "Haptically Annototated Movies: Reaching Out and Touching the Silver Screen, "In Proc. int. Sysmp. Haptic Interfaces for Virtual Environment and Teleoperator Systems, pp. 287-288, Mar.2006
  4. 류제하,"촉감기술의 핵심요소기술 및 응용", 대한기계학회, 기계저널 제47권, 제2호, 2007. 2,pp. 44-49
  5. Handshake proSENSE Virtual Touch Toolbox, http://www.handshakevr.com.
  6. Handshake VR Inc., "Handshake proSENSE Virtual Touch Toolbox v1.3 User Guide", Copyright 2001-1005, patent pending.
  7. 김현곤, 이영훈, "다중 이미지 기반의 촉감 모델링 방법",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 2010. 7, pp163-169
  8. US Patent-20060129719-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Haptic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