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 of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Named Sources and Those Cultural-Political Meanings

명명 유연성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 Kim, Sun-Ba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순배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1.04.06
  • Accepted : 2011.06.0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named source kept in all place names alludes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lace name and its place while it also becomes a fundamental condition for geographical research on place names. Meanwhile, the named source may be recogn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who the social subjects producing and changing place names Life. Place names represent and constitute the identity and the ideology of the diverse social subjects. This aspect is related to cultural politics concerned with conflicts and contestation among different social subjects over the meaning of place names. Particularly, the Gongju-Mok Jingwan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has long history and geopolitical location as a borderland and a buffer zone. As a result, it has provided many conditions for cultural diversity and power relations, both of which have caused social subjects to contest their social power across space and time, and has led to produce the several types in the changes of place nam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types according to the named source, especially that of the forepart of place names morpheme, and those cultural-political meanings. These place names are classified into three large groups, such as the physical place names, the social place names, and the economic place names. These types of place names have represented the place identity and the ideology of diverse social subjects, and also accompanied the changes by power relations between themselves.

모든 지명이 지니고 있는 명명 유연성은 지명과 공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암시하는 동시에 지명의 지리학적인 연구를 가능케 하는 기본 조건이다. 특히 지명 유연성은 지명을 생산하고 변경시키는 사회적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그 인식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지명의 생성과 변천은 사회적 주체의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의 재현, 나아가 이들 사이의 권력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실증하기 위해 필자는 공주목 진관 구역의 지명을 사례로 명명 유연성에 따른 지명 유형 분류와 그 안에 담긴 문화정치적인 의의를 살펴보았다. 공주목 진관 구역의 위치와 영역이 지닌 경계적이고 점이적인 성격은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의 거주와 이동에 영향을 미쳤고 이들에 의한 다양한 지명 생성과 변천 경로를 양산하였다. 특히 공주목 진관 지명들은 전부 지명소의 영명 유연성에 따라 자연적 지명, 사회적 지명, 경제적 지명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들 유형의 지명이 명명되고 변천되는 과정에는 다양한 사회적 주체 그들의 장소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거나 권력관계를 통해 지명을 변경하려 한 다양한 문화정치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