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ive Plans for Increasing Urban Parks through an Analysis of Areas with Park Shortages - Gangneung -

공원부족구역 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확충방안 연구 - 강릉시를 대상으로 -

  • Lee, Jae-Yo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Ky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이재영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김태경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1.04.08
  • Accepted : 2011.05.1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lans to increase the number of urban parks as a way to help absorb carbon in order to implement the low carbon green city goals of Gangneung. As a study method, park incentive areas and current park areas were set as parameters and the areas of lacking in park space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each indicator. The degree of park shortage was classified by overlapping the park shortage areas. Once the areas needing parks were assessed according to priority, target sites were selected on sites where construction would be actually possible. First,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ongjeong-Dong and Seongdeok-Dong to the east of the target site lacking park space due to old residences and high population density or industrial use areas, were the most severe in the degree of park shortage. It was also shown that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nd park shortages included the Ponam-Dong, Okcheon-Dong and Hongje-Dong areas. Accordingly, the east side of the target areas and Hongje-Dong were both considered as high-priority areas needing to increase park space and actual possible target sites were selected for the creation of new, small parks in industrial areas by creating parks in school yards, in facility relocation sites and legal reviews. In addition, analysis indicators of park shortages were re-evaluated according to the securing of the park and it was shown that the problems in park shortages were resolved with the proper positioning of parks. In addition, satisfaction in the area of park per person, $3m^2$ was at a higher than a certain level in all areas except Songjeong-Dong, demonstrating that the park areas were evenly distributed. Areas of park shortage were shown in part of Songjeong-Dong and Seongdeok-Dong. This could be resolved by using alternative park resources such as the adjacent Gyeongpo Provincial Park, the beach and Namdaecheon.

본 연구는 강릉시의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탄소흡수원으로서의 도시공원을 확충하기 위해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공원유치권과 동별 공원면적을 분석지표로 설정하여 각 지표에 대한 공원부족구역을 분류하고, 분류된 공원부족구역을 상호 중첩시켜 공원부족정도를 등급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공원 확충이 필요한 구역을 우선순위 평가를 통하여 설정한 후 실제 조성 가능한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먼저 공원유치권과 동별 공원면적에 대한 공원부족구역을 분석한 결과, 주로 오래된 주거 밀집지역이거나 공업지역에 해당되어 공원조성이 되지 않은 대상지 동쪽지역의 송정동과 성덕동이 공원부족정도가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나타났고, 인구밀도가 높으면서 공원이 부족한 지역은 포남동, 옥천동, 홍제동 일대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공원부족구역이 넓게 차지하고 있는 대상지의 동쪽지역과 홍제동은 공원 확충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지역이며, 이 지역에서 실제 조성가능한 대상지는 학교숲 공원화, 시설이전지 공원화, 법적 검토를 통한 공업지역의 신규 소공원 조성 등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공원 확보에 따른 공원부족구역 분석지표에 대한 재평가를 한 결과, 공원유치권에 대하여 공원의적절한 위치 선정으로 공원부족구역이 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인당 공원면적 $3m^2$에 대한 충족여부도 송정동을 제외한 나머지 동들은 모두 확보기준 이상으로 나타나 공원이 균등하게 분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송정동과 성덕동의 일부 공원부족구역이 나타났는데, 이는 인접해 있는 경포도립공원, 해변, 남대천 등을 대체 공원자원으로 활용한다면 해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릉시(2004) 강릉시 녹지마스터플랜.
  2. 강릉시(2008) 강릉시 도시림 실태보고서.
  3. 강릉시(2009) 강릉시 도시림 등 조성, 관리계획.
  4. 권상준, 심경구, 김유일(1994) 도시근린공원의 도달거리와 포착력에 관한 계량모형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1):150-178.
  5. 김미영(2005) 도시와 GIS. 경기:성안당. pp.278-282
  6. 나정화, 사공정희(2002) 녹지연계망 조성을 위한 거점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6):37-49.
  7. 박은진(2009) 도시 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및 흡수효과 증진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8. 사공정희(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사공정희, 나정화, 조현주(2007)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추가녹지 조성 우선순위 선정. 한국조경학회지 34(6):10-21
  10. 성현찬, 신지영(2005) 도시공원의 접근향상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2):83-91
  11. 안태원(2010) 저탄소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녹지계획지표 수립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상일, 김감영, 최은영, 신정엽(2009) 웹-기반 인구이동 데이터 제공 방식의 국제 비교. 지리교육논집 52:1-24
  13. 조현길, 안태원(2001) 도시생태계 수목의 대기정화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29(3):38-45
  14. 조현길, 조동하(1998) 도시 주요조경수종의 연간 $CO_{2}$흡수. 한국조경학회지 26(2):38-53
  15. 조현길, 조용현, 안태원(2003) 도시녹지의 대기환경개선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31(3):83-90.
  16. 홍성권(1990) 신도시의 공원녹지계획. 한국조경학회지 18(1):86-88.
  17. 환경부(2010) 강릉, 저탄소 녹색도시 본격시동, 환경부 보도자료, 2010. 2.23
  18. http://www.gangneung.go.kr/

Cited by

  1. Attitudes of Citizens towards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for Urban Sustainability: The Case of Gyeongsan City, Republic of Korea vol.7, pp.7, 2015, https://doi.org/10.3390/su7078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