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Torque Sensor for Electric Bicycle

전기 자전거용 토크센서 개발

  • 최성열 (휴맥스HW개발팀) ;
  • 전용호 (중원대학교산학협력단연구원) ;
  • 조황 (광운대학교 정보제어공학과)
  • Received : 2011.10.11
  • Accepted : 2011.12.12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As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and exhaustion of fossil fuel become global issue recently, there has been strong research motivation to develop green energy technology. Along the same line of motivation, some research efforts have been put in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bicycle equipped with various smart energy technologies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bicycle as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Among the technologies related with new generation bicycle, PAS (power assist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ystems that are essential in efficiently integrating human power and the electrical power supplied by electric motor driven by battery. In this paper, a novel torque sensor technology which is core component for PAS is proposed. Unlike existing technologies, strain gauges are attached to rear shaft directly under the hub bearings, which eliminates the requirement of slip-ring, Furthermore, the sensor is able to not only measure the torque transmitted to driving axle by human but als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gear to which the chain is currently engaged.

최근 환경오염, 지구 온난화, 화석 연료 고갈 등이 범지구적 문제가 됨에 따라 녹색 에너지 기술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자전거가 다양한 스마트 에너지 기술과 결합하여 친환경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 자전거 기술과 관련하여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중 PAS(Power Assist System)는 사람의 힘과 전기의 힘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 모터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PAS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인 새로운 토크 센서를 제안한다. 이 기술은 기존 기술들과는 달리 자전거 뒤축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슬립링의 필요성을 없애고 사람에 의해 가해지는 구동축 토크를 측정 할 뿐 아니라, 현재 작동되는 기어의 위치를 근사적으로 추정 가능하게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진, "국가 에너지 전략의 시대", CEO Information, 569호, 2006.
  2. 한국에너지경제연구소, "수송부문의 녹색일자리 (상)", 에너지 하이라이트,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May, 2010.
  3. Bedford, Fowler, "Engineering Mechanics Dynamics SI edition", Pearson, pp. 222-235, 2005.
  4. 다솔기계설계교육연구소, "인벤터활용서", 예문사, pp. 366-375, 2006.
  5. Stephen H. Crandall, Norman C. Dahl, Thomas J. Lardner, "An Introduction to the Mechanics of Solids, Second Edition with SI Units", McGrawHill, p. 165, p. 514, 1999.
  6. Coughin, Driscoll, "Operational Amplifiers and Linear Integrated circuits 6th edition", PrenticeHall, p. 239, 1998.
  7. 정원섭, 김호성, 유상대, 유재희, 정덕진, "마이크로전자회로 Sedra. Smith 5theditoin", 한티미디어, pp. 96-100, 2005.
  8. 김영해, "센서 인터페이싱 메카트로닉스 센서", 기전연구사, pp. 111-126, 2005.
  9. 노승만, "강원도 녹색 교통 촉진방안", 강원발전연구원, 정책브리프, 제 52호, 2009.
  10. 김성필, " Matlab 활용 칼만 필터의 이해 ", 아진, pp. 3-5, 2010.
  11. 이종원, 김문생, 조효남, "재료역학 James M. Gere 6th edtion", 교보문고, p. 665, 2009.
  12. Clarence W de silva, "Sensors and Actuators: Control System Instrumentation", CRC, pp. 274-307, 2007.
  13. Horowits and Hill, "The art of electronics", Cambridge, pp. 421-425, 1999.
  14. 이호형, 조황, "조종성이 가변 가능한 홀로노믹 구동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5권, 4호, pp. 471-479, 2010.
  15. 채용웅, "압력측정용 A/D 변환기의 OPAMP 개발",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5권, 4호, pp. 435-44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