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deo Flame Detection with Periodicity Analysis Based False Alarm Rejection

주기 신호 검출을 통한 거짓 경보 제거 기능을 갖춘 비디오 화염 감지 기법

  • 이상학 (동양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Received : 2011.06.27
  • Accepted : 2011.08.1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A video flame detection method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which have the flame-like color and moving objects in the input video. The video flame detector should be able to reduce a false alarm rate without the degradation of flame detection capability. The conventional methods can reject the false alarm caused by the car lights and some electric lights. However they make the false alarm caused by the warning lights, neon sign, and some periodic flickering lights which have the flame-like color and temporal features. This paper propose the video flame detection method with periodicity analysis based false alarm rejection.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the periodicity of the flickering electric lights and can reject the false alarm caused by the periodic electric lights. The computer simulation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did not make the false alarm in the test video with the periodic electric lights. But the conventional methods made a false alarm in the same test video.

비디오 기반 화염 감지 기법은 입력 비디오 영상에서 화염과 비슷한 색상을 가지고 움직임이 있는 영역에 대해서 화소 단위로 화염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시간적, 공간적 특징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다. 비디오 기반 화염 감지 기법 연구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화염 감지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어떻게 거짓 경보의 빈도를 줄일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기존의 방법들은 전기 장치로 만들어진 불빛들 중에서 자동차 전조등과 같은 일반적인 움직임을 가진 전기 불빛에 의한 거짓 경보는 쉽게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경광등, 경고등 그리고 네온사인과 같이 깜빡거림이 있는 전기 불빛은 색상과 시간적, 공간적인 특징이 실제 화염과 비슷할 경우 거짓 경보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광등, 경고등 그리고 네온사인과 같이 깜빡거림이 있는 전기 불빛 화소들의 주기 신호 검출을 통하여 진짜 화염이 아님을 확인하는 거짓 경보 제거 기능을 갖춘 비디오 화염 감지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화재 감지 성능은 기존의 방법과 비슷하였으나 기존의 방법이 거짓 경보를 발생시키는 시험 비디오에서 거짓 경보가 발생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G. Marbach, M. Loepfe, and T. Brupbacher,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fire detection in video images," Fire Safety Journal, Vol. 41, No. 4, pp. 285-289, 2006. https://doi.org/10.1016/j.firesaf.2006.02.001
  2. T. Chen, P. Wu, and Y. Chiou, "An early fire-detection method based on image processing," IEEE Proc. of Internat. Conf. on Image Processing, ICIP '04, pp. 1707-1710, 2004.
  3. R. Collins, A. Lipton, and T. Kanade, "A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and monitoring," Proc. of American Nuclear Society( ANS) 8th Internat. Topical Meeting on Tobotics and Remote Systems, Pittsburgh, PA, 1999.
  4. B. Töreyin, "Fire detection algorithms using mutimodal signal and image analysis," Bilkent Univ., Turkey, 2009.
  5. 박장식, 김현태, 유윤식, "Gaussian 혼합모델을 이용한 영상기반 화재 검출,"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6권, 2호, pp. 206-211, 2011.
  6. 문용선, 서영남, 고낙용, 노상현, 박종규, "화재 감지를 위한 로봇 설계 및 데이터처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5권, 1호 pp. 31-3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