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type Implementation of a Context Awareness System by Analyzing Alarm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알람정보와 인접환경 분석을 통한 지하시설물 상황인식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구현

  • 조성윤 (안양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 홍상기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
  • 장석우 (안양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1.04.18
  • Accepted : 2011.06.2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Since urban facilities have a signigicant meaning that represent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nations and cities, it is very important to effectively manage and operate the fac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ext-awareness system for managing urban underground facilities intelligently and develop its algorithm and prototype. The algorithm of the suggested system includes the period from the point when various sensors set up in USN environments sense abnormal signals and make alarms to the point when the context-awareness system analyzes the alarm and sends the analysis results to integrated platform and related modules. We then implement the prototype of the proposed context awareness system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y performing unit tests. Our developed prototype will become the basis of actual system development. We expect that the suggested system will be used as a good reference model of related systems managing various types of urban facilities.

도시의 기반 시설은 국가 또는 도시의 기술적인 발전 정도를 표현하는 지표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City에서 지능적으로 도시의 지하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상황인식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알고리즘 및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한다. 제안된 상황인식 시스템의 알고리즘 작성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환경에서 시설물을 관리하고 있는 각종 센서가 이상 신호를 감지하여 알람을 발생시킨 시점부터 상황인식 시스템이 발생한 알람의 원인을 찾아낸 후 그 결과를 도시공간정보 통합 플랫폼과 주변의 모듈에 전송해 주는 시점까지이다. 그리고 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상황인식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한 후 단위 테스트를 수행하여 구현된 프로토타입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지하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과 프로토타입은 검증 및 수정 작업을 거친 후 실제적인 시스템 개발로 연결될 것이며, 도시의 여러 가지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련 시스템들의 참조모델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 E. Bardram, 2005, "The Java Context Awareness Framework(JCAF) - A Service Infrastructure and Programming Framework for Context-Awar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 N. B. Behlouli, C. Taconet, G. Bernard, 2006, "An Architecture for Supporting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Context-Aware Component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Services, pp. 26-29.
  3. B. Garbinato, A. Holzer, F. Vessaz, 2010, "Context-Aware Broadcasting Approaches in Mobile Ad-hoc Networks," Computer Networks, Vol.54, No.7, pp. 1210-1228. https://doi.org/10.1016/j.comnet.2009.11.008
  4. T. Gu, H. K. Pung, and D. Q. Zhang, 2004, "Toward an OSGi-Based Infrastructure for Context-Aware Applications," IEEE Pervasive Computing, Vol.3, No.4, pp. 66-74. https://doi.org/10.1109/MPRV.2004.19
  5. B.-R. Kim, J.-A. Shin, W.-D. Cho, 2007, "Service Discovery Architecture in Context-Aware Environme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Convergence Technology.
  6. E.-S. Ryu and C. Yoo, 2008, "Towards Building Large Scale Live Media Streaming Framework for a U-City," Multimedia Tools and Applications, Vol.37, No.3, pp. 319-338. https://doi.org/10.1007/s11042-007-0166-z
  7. M. Sung, C. Marci, A. Pentland, 2005, "Wearable Feedback Systems for Rehabilitation,"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2, No.17.
  8. Z. Yu, X. Zhou, Z. Yu, J. H. Park, J. Ma, 2008, "iMuseum: A Scalable Context-Aware Intelligent Museum System," Computer Communications, Vol.31, No.18, pp. 4376-4382. https://doi.org/10.1016/j.comcom.2008.05.004
  9. 김형선, 김현, 조준면, 서영호, 2010, "u-Robot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 CAMUS,"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231-236.
  10. 박정순, 2000,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프로토타입의 의미와 프로토타이핑 전략에 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논문집, 제13권, 제3호, pp. 45-152.
  11. 서영정, 박영민, 윤효석, 우운택, 2007,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화된 스마트 오브젝트 제어 및 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위한 맥락 인식 모바일 증강 현실 시스템,"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제44권, 제3호, pp. 57-67.
  12. 오유수, 신춘성, 정우진, 우운택, 2006, "유비홈에서 조화로운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정형화된 맥락 인식 응용 모형," 한국정보과학학회지, 제24권, 제10호, pp. 25-36.
  13. 조재혁, 2010, "U-City에서 상황인지 및 예측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8권, 제4호, pp. 81-90.
  14. 장윤섭, 김재철, 최원근, 김경옥, 2009, "개방형 인터페이스기반 국토정보서비스 플랫폼 개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 17-24.
  15. 홍상기, 조성윤, 2009,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 플랫폼 참조모델 개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 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