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교원대학교
References
- 김정호(2005). 농촌주택의 실태와 정책적 함의. 한국지방자치연구, 7(2), 71-89.
- 농촌진흥청(2008). 2008 농촌생활지표 조사보고서: 식생활, 건강생활, 주거 및 환경, 생산 및 소비, 교육부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농촌진흥청(2009). 2009 농촌생활지표 조사보고서: 인구 및 사회, 가족생활, 여가생활, 사회복지, 지역개발 및 정보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윤주현 편(2002). 한국의 주택. 대전: 통계청.
- 이해욱(2009). 농촌거주유형분석을 통한 농촌주택 계획방향 연구. 농촌계획, 15(2), 43-57.
- 장성준(2010). 농촌지역의 마을과 주택의 유형과 진화: 13개마을사례에 대한 1980년대와 2010년 현황 비교.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7), 63-74.
- 정건채(2005). 문화마을의 현황과 주택외관과 입면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7(1), 1-10.
- 조재순(1999). 1가구 거주주택과 2가구 이상 거주주택의 주거 특성 변화: 1985-1995. 한국주거학회지, 10(1), 97-109
- 조재순(2000). 실천적 측면에서 본 주거학 연구의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257-265.
- 조재순(2007). 주거학 분야 연구 동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창립30주년 기념 특별호, 73-81.
- 주거학연구회(2005). 넓게 보는 주거학. 교문사.
- 주대관(2005). 농촌주택의 사회적 중요성과 개선 방향, 주택, 0506, 58-64.
- 하성규․윤원근((1989). 농촌주택의 실태와 정책방향. 농촌경제, 12(4), 105-120.
- 통계개발원(2008). 한국의 인구․주택: 인구주택총조사 종합보고서. 통계개발원.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2011a). 2009 한국의 사회지표. http://www.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2011b). 197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http://www.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2011c). 2005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http://www.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2011d) 2010 인구주택총조사 잠정집계 결과. http://www.census.go.kr/hcensus
- 통계청 e나라지표(2011). 농촌지역 생활인프라 보급률. http://www.index.go.kr/egams/stts/jsp
- Cho, J.(2008). The changes of housing characteristics occupied by two or more households from 1995-2005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9(1), 53-62.
- Rossi, P.H.(1980). Why Families Move (2nd ed.). Sage Publicatio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