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oking and Food Preparation Skills of 5th and 6th Graders in Gangwon Province

강원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조리활동에 필요한 기초 조리능력 및 식품준비 능력에 관한 연구

  • Jung, Kyung-Ah (Dep.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정경아 (춘천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 Received : 2011.04.15
  • Accepted : 2011.05.2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of the recipes and 'stir frying' in 76.8% of the recipes. Other cooking methods were used as follows; 'blanching'(24.2%), 'roasting'(22.6%), 'pan frying'(21.0%), 'deep fat frying'(18.7%), etc. The use of 'Boiling' increased significantly(p=0.044) from 4.5% in 2008 to 10.0% in 2010 while the use of 'deep fat frying' decreased significantly(p=0.027) from 21.8% to 10.9%. The frequency of using cooking tools was as follows; knives and cutting boards(100.0%), dishes(92.9%), frypans(91.3%), chopsticks(40.3%), spoons(38.7%), etc. The foods used in cooking were as follows; rice(100.0%), carrots(67.1%), onions(61.9%), eggs(41.6%), paprika(27.7%), kimchi(25.2%), pizza-cheese(22.9%), etc. Natural and processed foods were used in cooking as the ratio of 80:20 approximately. Of the 5 food groups, 'meat fish egg bean' decreased from $24.44{\pm}13.27%$ in 2008 to $20.84{\pm}10.59%$ in 2010, but 'vegetables' increased from $44.38{\pm}15.65%$ to $50.64{\pm}14.07%$ significantly(p<0.05). In conclusion, 5th and 6th graders had an ability to select various foods for their health when cooking even if they have some foods they don't like while they lacked cooking skills such as using various cutting methods and proper cooking tools.

본 연구는 강원지역 어린이 건강요리 경연대회에 참가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의 '건강요리계획서' 총 310개를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조리능력 및 식품준비 능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기초 조리능력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된 썰기 방법, 조리방법, 조리기구 및 가열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사되었다. 썰기 방법은 팔모썰기(79.4%), 채썰기(11.3%), 다지기(6.5%) 등의 순서로 나타나 '팔모썰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다른 썰기 방법이 요리에 사용된 빈도는 매우 적었다. 조리방법은 볶기(76.8%), 삶기/데치기(24.2%), 굽기(22.6%), 지지기(21.0%), 튀기기(18.7%), 찌기(12.3), 끓이기(5.8%)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고, '끓이기'는 2008년 4.5%, 2010년 10.0%로 유의하게 증가한 (p=0.044) 반면, '튀기기'는 2008년 21.8%, 2010년 10.9%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27). 조리기구는 칼과 도마(100.0%), 접시(92.9%), 후라이팬(91.3%), 젓가락(40.3%), 숟가락(38.7%), 냄비(33.2%), 볼(33.2%), 주걱(30.0%), 뒤집개(30.0%) 등의 순서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열기구는 가스레인지(97.4%), 오븐(12.3%), 전자레인지(11.0%)의 순서로 많이 사용되었다. 초등학생들의 식품준비 능력은 건강한 음식을 만들기 위해 선택한 식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된 식품의 종류는 모든 요리에 사용된 쌀을 제외하면 당근(67.1%), 양파(61.9%), 계란(41.6%), 파프리카(27.7%), 김치(25.2%), 피자치즈(22.9%), 햄(21.9%), 피망(20.6%) 등의 순서였다. 건강요리에 사용된 자연식품의 개수는 전체 평균 $6.60{\pm}1.79$개, 가공식품의 개수는 $1.34{\pm}1.10$개였으며, 전체 식품 중에서 각각이 차지하는 비율은 $83.24{\pm}13.18%$$16.76{\pm}13.18%$로 대략 80:20의 구성비를 보였다. 전체 식품 중에서 각 식품군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고기 생선 계란 콩류는 2008년 $24.44{\pm}13.27%$, 2009년 $24.61{\pm}13.10%$, 2010년 $20.84{\pm}10.59%$로 2008년과 2009년에 비해 2010년에 유의하게 감소한(p<0.05) 반면, 채소류는 2008년 $44.38{\pm}15.65%$,2009년 $45.73{\pm}16.49%$, 2010년 $50.64{\pm}14.07%$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의 기초 조리능력 및 식품준비 능력을 분석하였을 때 썰기 방법의 경우 다양한 썰기 방법을 구사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조리과정에서는 제한된 썰기 방법만을 사용하였으며, 적합한 조리기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다소 미흡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영양의 균형을 고려하여 식품을 선택하는 식품준비 능력에 있어서는 학교교육과정 또는 다른 매체를 통해 습득하여 알고 있는 지식을 조리활동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춘천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