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a Family Restaurant's Brand Symbol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심벌이 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Ki-Yeong (Dep, of Foodservice, Kyounggi University) ;
  • Lee, Yong-Ho (Dep, of Foodservice, Graduate School of Kyounggi University) ;
  • Choi, Dong-Hee (Dept of Hospitality &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 김기영 (경기대학교 관광대학) ;
  • 이용호 (경기대학교 대학원) ;
  • 최동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호텔관광경영)
  • Received : 2010.12.24
  • Accepted : 2011.05.3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effect of a brand symbol of a family restaurant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With regard to analysis methods, the study carried out a reliability test and a validity test concerning a precedent research concept, ahead of verifying the hypothesis by using the SPSS Ver. 16.0. Also, the study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regarding a brand symbol as a visual symbol, three factors including a functional factor, a value factor, and an aesthetic factor were extracted, and of them, the functional factor and an aesthetic factor were discovered to influence of the brand image and preference which affected purchasing intention. In addition, consumers preferred a logo type that includes a company name or a brand name rather than a picture or a mark type of a symbol regarding a brand symbol, and they answered that outdoor advertising would raise awareness more than TV advertising. Based on these results, using a logo type symbol and the mix of outdoor advertising and TV advertising should be considered for brand launch.

본 연구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심벌이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브랜드 심벌을 시각적 기호로서 기능적 요소, 가치적 요소, 심미적 요소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중 기능적 요소와 심미적 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는 다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브랜드 심벌에 대하여 그림이나 기호의 마크형보다는 기업명이나 브랜드명이 들어간 로고형을 선호하였고 TV광고보다는 옥외광고가 더욱 인지도를 높인다고 응답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향후 브랜드 런칭 시 심벌에 대한 디자인은 앞에서 언급한 로고형 심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광고는 어느 한곳에 편중되지 않은 옥외광고와 TV광고가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