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Supervision Model Based on the Narrative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장학 모형 개발의 예비적 탐색

  • Received : 2011.06.20
  • Accepted : 2011.08.1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l of curriculum supervision that can substantialize the educational value by studying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present curriculum supervision. And this study focuses on reciprocal actions based on communication and dialogs. As the model of supervision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proposes the supervision model of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We need to move the view point of bureaucratic administrative supervision to new vision. For the supervision matched with this new approach, the teachers' experience has to be reinforced by dialogs and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member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supervision in the mood of respect. The educative value of school can be recovered by the narrative through interaction, respecting school members' experience and meanings in their life according to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forming the school community by mutual communication, and constructing school culture coping with change of new environ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석.유승연(2005). 학교장학문화와 장학효과성의 관계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3), 49-71.
  2. 강영삼(2005). 1980년 이후 장학의 문제 추이와 과제, 교육논총 25(1), 3-30.
  3. 강현석(2007).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내러티브에 의한 수업비평의 지평과 가치 탐색, 교육과정연구 25(2), 1-35.
  4. 강현석(2008). 교사의 내러티브 경험에 기초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 및 교과서 컨설팅 방안. 한국교육정책연구소, 교육연구 2008(1).
  5. 김덕희(2006). 학교단위 수업장학 모형 탐색, 교육학논총 27(1), 113-140.
  6. 김분순.강현석(2010). 학교 교육과정 컨설팅 모형의 시론적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22(4), 537-552.
  7. 박을규(2007). 삶, 그리고 교육경험의 의미에 관한 초등 여장학사의 자전적 탐구, 대구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경혜(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9. 안세근(2007). 학교컨설팅과 장학 활동을 통한 학교변화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1), 141-164.
  10. 염지숙(2003).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한국교육인류학회 6(1), 119-140.
  11. 오성은(2008). 초임원감의 원내 장학 경험의 의미, 중앙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기옥(2001). 교내장학의 동향과 발전방향 탐색,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총 18, 285-307.
  13. 이윤식.유현숙(1989). 교내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4. 이윤식(1999a). 교사발달의 관점에서 본 장학, 한국교사교육 16(2). 1-27.
  15. 이윤식(1999b). 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16. 이윤식(2001). 학교경영과 자율장학, 서울: 교육과학사.
  17. 이창형(2005). 교내장학의 자율적인 활성화 방안탬색, 교육논총 25(1), 159-199.
  18. 장경숙.박미애(2005). 예비교사 수업장학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초등 영어교육 11(2), 33-60.
  19. 정미진(2003). 도덕교육방법으로서 서사, 한국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수현(2008). 대화 개념에 근거한 학교컨설팅 방법론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6(2), 391-414.
  21. 정태범(2002). 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22. 조광제, 허학도(2006). 현대교육과 학교공동체, 서울: 원미사.
  23. 조덕주(2003). 교육과정 지원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새로운 장학 방안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I). 열린교육연구 11(2), 131-157.
  24. 주삼환(1982). 장학의 본질에 비추어 본 장학개선방향, 교육발전논총 4(1). 81-99.
  25. 주삼환(2005). 한국교육행정 강론, 서울: 한국학술정보.
  26. 주삼환(2006). 장학의 이론과 기법, 서울: 학지사.
  27. 주현준(2010).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모임에 관한 질적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2(3), 46-475.
  28. 진동섭(2003). 학교 컨설팅, 서울: 학지사.
  29. 진동섭.김도기(2005). 컨설팅 장학의 개념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3(1), 1-25.
  30. 함수곤.김찬재(2007). 교육과정 장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31. Alfonso, R.(1986). "The unseen supervisor: Organization and culture as determinants of teacher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April.
  32. Bruner, J.S.(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3. Blumberg, Arthur.(1980). Supervisors & Teachers: A private cold war(2nd ed.), Berkeley, C. A.:McCutchan.
  34. Clandinin, D. J. & Connelly, F. M.(1988).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eien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강현석.박민정.소경희.조덕주.홍은숙 역(2007),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서울: 양서원.
  35. Glatthorn, Allan A., Floyd Boschee., Whitehead, Bruce M.(2009). Curriculum Leadership: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2nd Ed), New York: Sage Publications, Inc., 강충열.정광순.유위준 역(2011), 교육과정 리더쉽: 개발과 실행 전략, 서울: 학지사.
  36. Glickman, Carl D., Gordon, Stephen P., Ross-Gordon, Jovita M.(2004).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A Developmental Approach(6th Ed.). MA: Pearson.
  37. Hoy, Anita Woolfolk & Hoy, Wayne Kolter.(2006). Instructional leadership: A research-based guide to learning in schools(2nd Ed.). MA: Allyn and Bacon.
  38. May, W. T.(1989). Supervision and Curriculum, In Encyclopedia of education, 728-730.
  39. Print. M.(1993).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2nd Ed.). NSW: Allen & Unwin Ltd., 강현석.박영무.박창언.손충기.이원희.최호성 역(2006), 교육과정 개발과 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40. Sergiovanni, Thomas J. & Starratt, Robert J. (1979). Supervision: Human Perspectives(2nd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
  41. Sergiovanni, Thomas J.(2006). The principalship: A reflective practice perspective, 5th Ed., MA: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