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피난방화규정의 제.개정시기별 화재안전성능 평가 - 호텔건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ng the Fire Safety of the Regulation of Escape and Fire-Prevention from Enacting to Now - Focusing on the Hotel Building -

  • 이세명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재난과학과) ;
  • 윤명오 (서울시립대학교 재난과학과)
  • 투고 : 2011.03.03
  • 심사 : 2011.06.10
  • 발행 : 2011.06.30

초록

우리나라의 피난방화규정은 1962년 건축법 제정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화재안전성능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지, 그리고 현재의 규정은 어느 정도의 화재안전성능을 확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거 화재사례로 비추어 화재발생시 인명피해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숙박시설 중 호텔건물을 모델로 하여 피난방화규정의 제/개정 시기별 화재안전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과거에 비해 화재안전성능이 개선되고는 있으나, 특히 저층부분에서의 거실 및 층피난안전성에서 취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숙박시설의 경우 재실자의 화재 인지가 늦어 피난시간이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내부마감재료와 방화문 그리고, 방화구획(면적별/층별) 등의 규정을 보완하여 연기층하강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 할 필요가 있다.

Regulation of Escape and fire-prevention of Building of South Korea were enacted as a part of building codes in 1962. Since it was enacted, the law has gone through many changes. In this study, evaluated the fire safety of the law about the case of a hotel that the fire risk are expected to be higher whenever it was changed. As a result, the current law has gotten better in tire safety since it was enacted. However, especiall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evacuation safety is insufficient in the lower level of hotel building. In the case of accommodation, because the occupants become aware of fire lately, they have not enough time to escap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counterplan about the interior finish materials, fire door and fire compartments that the smoke layer descending time is longer.

키워드

참고문헌

  1. 일본건설성 고시 1441호/1442호(2000.05.31).
  2. 防火設備性能評業務方法書, 財法人日本建築合試所 (2005.11.15).
  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 부령 제 306호(2010.11.5).
  4.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부령 제320호(2010.12.30).
  5. 윤명오, 박승민, "피난안전검증법 해설 및 적용사례", 씨엔피솔루션(2008.8.14).
  6. 建築物の合防火設計法,日本建築センタ(1989.4).
  7. 건축방재계획지침, 한국화재보험협회(97.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