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구의 연령 측정 관련 과학사 수업 개발

Development of a History of Science Lesson Using the Content of 'Age Dating of the Earth'

  • 신동희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강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Shin, Dong-He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Kang, Hye-J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투고 : 2011.01.10
  • 심사 : 2011.06.05
  • 발행 : 2011.06.30

초록

과학 수업에 과학사를 도입하자는 주장은 과학 지식과 과학적 방법의 이해,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찰, 과학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의 이해 등의 필요성에 따라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통합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과학사는 통합 과학 교육의 방안으로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과학 교육에 활용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 과학 주제로서 과학사를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해 과학사 수업을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과학의 주제로서의 과학사 수업의 개발을 위해 '지구의 연령'을 주제로 선정했다.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범 적용 결과, 학생들은 수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The opinion, that the history of science should be introduced to science lesson,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by a group of people who supported the needs of science and scientific process, nature of scienc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society. When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s emphasized, the history of science is suggested as an effective curriculum for it. To respond to this identified interest, we developed a lesson of the history of science by selecting the contents of the history of science as subject topics of the integrated science and by utilizing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s. To develop the history of science class as a subject of integrated science, we chose 'the age of the earth' as a unit. After the pilot test of the unit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possibility of offering the lesson as a regular course was examined with analysis of the students' reactions showing its effective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 2005, 과학사를 활용한 발견적 순환학습모형과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중학교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7 p.
  2. 공하린, 2006, 3일만에 읽는 과학사. 서울문화사, 서울, 291 p.
  3. 권재술, 박범익, 1997, 통합 과학 과정의 접근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개념 중심 방법과 과정 중심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 36-43.
  4. 길학균, 이길재, 1998, 과학사를 이용한 멘델 유전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 167-177.
  5. 김도욱, 1995, 연소에 대한 오개념 교정을 위한 과학사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초등학교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 135-148.
  6. 노태희, 박수연, 임희준, 차정호, 1998,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61-70.
  7. 박남이, 이길재, 2000, 과학사를 이용한 진화 개념의 교수-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 85-99.
  8. 박문영, 이면우, 2007, 과학자를 소재로 한 초등 과학 영재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 507-521.
  9. 박수경, 김상달, 주국영, 남윤경, 2001, 중학교 과학 수업을 위한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2, 350-359.
  10. 손연아, 이학동, 1999, 통합 과학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41-61.
  11. 양승훈, 송진웅, 김인환, 조정일, 정원우, 1996, 과학사와 과학 교육: 과학 교육을 위한 과학사적 학습 지도. 민음사, 서울, 374 p.
  12. 이기영, 안희수, 1999,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213-222.
  13. 이면우, 2003, 한국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과학 교육의 가능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2, 211-222.
  14. 이충호 역, 2000, 과학사 속의 대논쟁 10. 가람기획, 서울, 344 p.
  15. 조숙경 역, 2002, 데이팅게임. 바다출판사, 서울, 286 p.
  16. 좌용주 역, 2007, 천재들의 과학노트 4 지구과학. 일출봉, 서울, 265 p.
  17. 조양숙, 이희순, 김도욱, 1996, 초등학교에서 물질관의 오개념 교정을 위한 과학사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 305-314.
  18. 최미화, 최병순, 1999, 통합 주제를 중심으로 한 중학교 수준의 통합과학 내용 구성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204-216.
  19. 최주연 역, 2005,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사 2. 에코리브르, 서울, 215 p.
  20. 최윤희, 2005, 제7차 초.중등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11 p.
  21.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과학.수학 특성화 교과 교실 운영 가이드. 한국과학창의재단, 서울, 90 p.
  22. Appelget, J., Matthews, C.E., Hildreth, D.P., and Daniel, M.L., 2002, Teaching the History of Science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37, 298-303. https://doi.org/10.1177/105345120203700506
  23. Jenkins, E.W., 1990, The history of science in British schools: Retrospect and prospec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 274-281. https://doi.org/10.1080/0950069900120306
  24. Matthews, M.R., 1991,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Teaching Education, 3, 177-182. https://doi.org/10.1080/1047621910030220
  25. Matthews, M.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Routledge, NY, USA, 256 p.
  26. Nielsen, H. and Thomsen, P.V., 1990,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physics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 308-316. https://doi.org/10.1080/0950069900120310
  27. Paschke, J., 2001, "Galileo's Inclined Plane" Living laboratories as an Activity-Based Method of Instruction in History and Science. Science Activities, 38, 18-20.
  28. Rosa, K. and Martins, M.C., 2009,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for a Course on History and Epistemology of Physics: Analyzing the Experience of a Brazilian University. Science and Education, 18, 149-155. https://doi.org/10.1007/s11191-008-9138-6
  29. Rutherford, F.J., 2001, Foster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American Science Education. Science and Education, 10, 569-580. https://doi.org/10.1023/A:1017533226287
  30. Sequeira, M. and Leite, L., 1991,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y of Science in Physics Teache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5, 45-56. https://doi.org/10.1002/sce.3730750105
  31. Solomon, J., Duveen, J., and Scot, L.,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409-421.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8
  32. Thompson, D., Praia, J., and Marques, L., 2000, The Importance of History and Epistemology in the Designing of Earth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for Gener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8, 45-62. https://doi.org/10.1080/713694956
  33. Van Driel, J.H., 1998, Relating Students' Reasoning to the History of Science: The Case of chemical Equilibrium.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 187-198. https://doi.org/10.1007/BF02462904
  34. Viana, H.E.B. and Porto, P.A., 2010, The Development of Dalton's Atomic Theory as a Case Study in the History of Science: Reflections for Educators in Chemistry. Science and Education, 19, 75-90. https://doi.org/10.1007/s11191-008-9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