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dict Solar Radiation According to Weather Report

일기예보를 이용한 일사량 예측기법개발

  • Won, Jong-Min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Doe, Geun-You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Ocena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Heo, Na-Ri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원종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도근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
  • 허나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Received : 2011.05.06
  • Accepted : 2011.06.28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value of Photovoltaic as an independent power supply is small, but the city's carbon emissions reduction and for the reduction of fossil fuel use distributed power is the power source to a very high value. However,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for solar power generation by power fluctuations because of the size distribution to be effective, the big swing for effectively controlling real-time monitoring should be made. But that depends on solar power generation solar radiation forecasts from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does not need to predict it, and this study, the diffuse sky radiation in the history of the solar radiation in the darkness of the clouds, thick and weather forecasts can be inferred from the atmospheric transmittance to announce this value is calculated to represent each weather forecast solar radiation and solar radiation predicted by substituting the expression And the measured solar radiation and CRM (Cloud Cover Radiation Model) technique with an expression of Kasten and Czeplak irradiation when compared to the calculated predictions were verified.

태양광발전은 독립전원으로써의 가치는 미미하나 도시전체의 탄소발생량 저감 및 화석연료 사용 저감을 위한 분산전원으로써 가치가 매우 높은 전력원이다. 하지만 태양광발전의 경우 기상조건에 따른 발전량 변동이 심하기에 분산전원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큰 변동폭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태양광발전량을 좌우하는 일사량은 예측치가 존재하지 않기에 이를 예측해야 하고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일사량을 직산분리 하여 구름의 짙은 정도나 두께 등을 유추할 수 있는 대기투과율을 일기예보에서 발표하는 날씨별로 대푯값을 산정하고 이를 일사량 예측식에 대입하여 일사량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실측 일사량 및 CRM(Cloud Cover Radiation Model)기법인 Kasten and Czeplak의 식을 통해 계산된 예측일사량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유호천, 이관호, 강현구(2009), "표준기상데이터의 운량과 일사량 데이터 비교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9 No.11월, pp. 330-335
  2. 은정호, 김창범, 조덕기(1999), "서울지역 실측일사량을 이용한 일사향 직산분리 모델의 정밀성 검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0권 1호, pp. 45-54
  3. 二宮 秀興(1994), 建築熱環境 シミュレ一ション へのAMeDAS 氣象デ一タの適用に關する硏究
  4. 國土交通省二大臣官宮房官廳.繕部秀設備.環境課監修(2009), 建築設備設計基準

Cited by

  1. Development of Daily PV Power Forecasting Models using ELM vol.64, pp.3, 2015, https://doi.org/10.5370/KIEEP.2015.64.3.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