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Assertive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Academic Achievement in Late Childhood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조희원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지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1.08.25
  • Accepted : 2011.11.0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mechanisms by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temperament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in late childhoo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on achievement would be mediated by assertive behavior on the part of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completed by 657 elementary school children (343 boys, 314 girl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child temperamen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both assertive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is was evidenced across the entire sample. Child temperament (approach-withdrawal, mood quality, persistence) also had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on assertive behavior (directiveness, social assertiveness, defense of rights and interests) and maternal parental behavior (warmth-acceptance, guidance). These results were found to be the case for both boys and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vealed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achievement for boys, whereas assertive behavior played the same role for girl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 approaches in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which give due consideration to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as well as parenting, based on child gender.

Keywords

References

  1. 권명선(2001). 놀이 중심의 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 및 주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계수(2007). AMOS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3. 김상래(2002). 취업모의 자녀양육태도와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승기(2002).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조정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은진․박성연․임희수(2009). 아동의 성 및 기질, 남편의 양육지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이 걸음마기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9), 71-82.
  6. 김은하(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의철․박영신(2008).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2):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4(1), 63-109.
  8. 김정휘(1972). 창의력과 지능 및 학업성취의 관계분석.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지신(1996).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혜영(2000).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0(10), 205-223.
  11. 나미순(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남현우(2001). 검사 동등화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3. 문혁준(2010). 취학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기질, 또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35-46.
  14. 박성연․유명희(1992). 온순한 유아와 까다로운 유아의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반응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2(2), 173-191.
  15. 박성연.케네스 루빈(2008). 걸음마기 아동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109-124.
  16. 박순길(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적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창남․도종수(2005).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22, 281-303.
  18. 서기남․문혁준(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유아의 개인 변인과 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5), 107-121.
  19. 서용선(1982). 아동의 자아개념과 동료간 인기도 및 학업성취의 상관관계. 대한가정학회지, 20(4), 257-257.
  20. 송숙희․김재은․정현지(1991). 시험불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1), 11-23.
  21.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 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22. 양애경․조호제(2009).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1-18.
  23. 유미영․홍혜영(2010).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4(4), 915-937.
  24. 윤정민(1997). 중학생들의 기질이 과학 태도 및 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건순(2003). 자기주장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장성 발달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지원(1999).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로부터의 공격 피해에 미치는 영향:공격적 및 소극적 반응양식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조선일보(2009. 01. 01). 위기에 강한 한국의 저력:교육열 세계 최고. 미국 내 유학생 수 한국이 1위. http://news.chosun.com에서 2010. 12. 03. 인출.
  28. 차미탁(2010).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옥희․김용미(2008).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과 학업성취 차이에 대한 연구. 아동교육, 17(2), 275-285.
  30. 하수정․박성연(2011). 아버지의 양육태도, 학령기 여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내적동기가 여아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1), 133-149.
  31. 황매향(2006).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7(3), 187-203.
  32. 황지현(2006).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Al-Hendawi, M. (2010). The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A 2-year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at-risk.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34. Bandura, A., Barbaranelli, C., Caprara, G. V., & Pastorelli, C. (1996). Multifaceted impact of selfefficacy beliefs on academic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67(3), 1206-1222. https://doi.org/10.2307/1131888
  35.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https://doi.org/10.2307/1131780
  36. Bean, R. A., Bush, K. R., McKenry, P. C., & Wilson, S. M. (2003). The mpact of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of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8(5), 523-541. https://doi.org/10.1177/0743558403255070
  37. Blatny, M., Jelinek, M., & Osecka, T. (2007). Assertive toddler, self-efficacious adult:Child temperament predicts personality over 40 yea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8), 2127-2136. https://doi.org/10.1016/j.paid.2007.06.024
  38. Bramlett, R. K., Scott, P., & Rowell, R. K. (2000). A comparison of temperament and social skills in predicting academic performance in first graders. Special Services in the Schools, 16(1), 147-158. https://doi.org/10.1300/J008v16n01_10
  39. Bronstein, P. (1994). Patterns of parent-child interaction in Mexican Families: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7(3), 423-446. https://doi.org/10.1177/016502549401700303
  40. Bronstein, P., Ginsburg, G. S., & Herrera, I. S. (2005). Parental predictors of motivational orientation in early adolescence: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6), 559-575. https://doi.org/10.1007/s10964-005-8946-0
  41. Coplan, R. J., Barber, A. M., & Legace-Seguin, D. G. (1999). The role of child temperament as a predictor of early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in preschooI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 537-553. https://doi.org/10.1016/S0885-2006(99)00025-3
  42. De Graaf, P. M., & Ganzeboom, H. B. G. (1993). Family back‐ground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for the 1891-1960 birth cohorts. In Y. Shavit & H. Blossfeld (Eds.), Persistent inequality:changing educational attain ment in thirteen countries (pp. 75-99). Boulder, Colorado:Westview Press.
  43. Goldsmith, H. H., & Rothbart, M. K. (1996). The Laboratory Temperament Assessment Battery. Prelocomotor Version, V.3.00. Unpublished manuscript.
  44. Hernandez, A. A. (2010).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rturance and monitoring dimensions of parenting, academic self-concept, and acculturation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atino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45.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46. Lorr, M., & More, W. W. (1980). Four dimensions of assertivenes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5(2), 127-138.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1502_1
  47. Sanson, A., Hemphill, S., A., & Smart, D. (2004). Connec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A Review. Social Development, 13(1), 142-170. https://doi.org/10.1046/j.1467-9507.2004.00261.x
  48. Simons, J. (1975). How Effective is Schooling for Promoting Learning. World Bank Staff Working Paper.
  49. Steinberg, B. S. (2001). The making of female presidents and prime ministers:The impact of birth order, sex of siblings, and father-daughter dynamics. Political Psychology, 22(1), 89-110. https://doi.org/10.1111/0162-895X.00227
  50. Wang, M. C., Haertel, G. D., & Walberg, H. J. (1993). Toward a knowledge base for schoo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3), 249-294. https://doi.org/10.3102/00346543063003249
  51. Windle, M., & Lerner, R. M. (1986). Reassessing the Dimensions of Temperamental Individuality Across the Life Span:The Revised De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ST-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 213-230. https://doi.org/10.1177/07435548861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