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경아(2004).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강선영.김경림.오근남.권현정.김수진.이연무 .권희경.서정화.정해선(1987). 아동의 인기도와 제 변인과의 관계 연구. 부학, 20, 87-90.
- 강화정(2007). 초등학교의 인기아와 배척아 결정변인 판별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남순(2003). 발달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소영(2010). 청소년의 학대경험, 갈등해결전략 및 의사소통능력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송이.박경자(2001). 또래지위와 친구관계에 따른 아동의 갈등해결 방식. 아동학회지, 22(4), 69-84.
- 김외열(1989). 또래 아동이 지각한 인기아와 배척아의 제특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윤경(1997). 인기, 무시, 배척집단의 사회 기술 및 부모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은정(2001). 아동의 또래지위와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인실(1993). 인기아와 배척아의 사회적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지현(2009).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른 갈등해결전략 사용과 정서지능의 차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진경.유안진(2002).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기술과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 23(2), 121-135.
- 김진영(2007). 학령기 아동의 또래 간 갈등해결 프로 그램의 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표선(2003). 아동의 또래지위와 우정의 질 및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남운학(1994). 국민학교 아동의 교우관계에 있어서 인기아와 배척아의 행동특성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하학위 청구논문.
- 문은영(1994). 또래의 수용이 청소년 초기의 고독감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승민(1993). 갈등관리훈련을 통한 대인간 갈등대처 방식의 변화과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영순(2008). 의사소통훈련이 초등학생의 대인간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영준.홍경자(2003).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교회 생활태도 변화를 위한 의사소통훈련 효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17-234.
- 막인전(1989). 아동의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 새마을지역개발연구, 10, 174-186.
- 배선영(1999).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배정현(2003). 또래지위에 따른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송미선(1994). 놀이개입 상황에 있어서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른 사회적 행동과 의사소통 기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송순(2002). 아동의 또래지위지가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147-159.
- 신선영(2008). 아동의 성 및 또래지위에 따른 의사소통능력과 갈등해결전략 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심미옥(1996). 남녀 초등학생 인기 요인 분석. 교육연구, 14, 277-301.
- 엄은나(2007). 의사소통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행동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241-261.
- 유현숙.김태준.이석재.송선영(2004).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관리 방안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 윤상은(2008).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에 대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윤옥인(1995). 학급내의 사회성 측정지위로 본 인기아 와 배척아의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경미(1992). 유아의 인기도와 조망수용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지각조망, 인지조망, 감정조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근영(1999). 또래 간 상호작용 유형과 인기도에 따른 유아의 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석재.장유경.이헌남.박광엽(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 이영옥.천성문.류위자.정환경(2009). 학급단위 비폭력 의사소통 훈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12(2), 47-57.
- 이은아(2006). Rosenberg의 비폭력 의사소통 훈련 프 로그램이 배척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은해.고윤주.오원정(2000). 청소년기 친구에 대한 만족감과 친구의 지원 및 갈등해결.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3(39), 105-121.
- 이은해.김정윤.오원정(2001). 아동의 또래지위 및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의 관계. 아동학회지, 22 (1), 1-18.
- 이현숙(2000). 또래집단 내에서 인기아, 공격아, 희생아의 특성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혜옥(1991). 놀이상황에서 나타난 인기아와 배척아의 사회적 행동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임연진(1998). 또래지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정보처리 능력과 사회적 행동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장혜정(1997). 유아의 또래 간 인기도와 의사소통 기술 및 대인문제 해결력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장유영.박은혜(2005). 통합상황에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대인간 갈등해결전략 이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5(1), 73-90.
- 정선진(2000).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와 또래지위 및 친구관계의 질.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정원식.강주태(1981). 교육심리학. 서울: 교육출판사.
- 하지원(2004).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현인숙(1999). 인기아동과 배척아동의 정서지능과 행동특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Asher, S. (1990).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f Peer Rejection. In S. Asher, & J.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pp. 3-14).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sher, S., & Oden, S.(1977). Coaching children in social skills for friendship making. Child Development, 48, 495-506. https://doi.org/10.2307/1128645
- Betancourt, D. (2003). Helping children develop their communication skills. Jacarta Post (Indonesia), May 14, 2003.
- Black. B., & Logan, A. (1995). Links between communication patterns in mother-child, father-child, and child-peer interactions and children's social statu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Burleson, B. R., Delia, J. G., & Applegate, J. L. (1992). Effects of Maternal Communication and Children's Social Cognitive and Communication Skills on Children's Acceptance by the peer group. Family Relations, 41, 264-272. https://doi.org/10.2307/585189
- Coie, J., Dodge, K., & Coppotelli, H. (1982). Dimensions and Types of Social Status : A Cross-Age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 557- 570. https://doi.org/10.1037/0012-1649.18.4.557
- Dodge, K. A. (1983). Behavioral Antecedents of Peer Social Status. Child Development, 54(6), 1386- 1399. https://doi.org/10.2307/1129802
-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New York : Basic Books.
-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 Bantam Books.
- Hazen, N. L., & Black, B. (1989). Preschool peer communication skills. The role of social status and interaction context, Child development, 60, 867-876. https://doi.org/10.2307/1131028
- Kupersmidt, J. B., Coie, J. D., & Dodge, K. A. (1990). The Role of Poor Peer Relations in the Development of Disorder.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pp. 274- 305). Cambridge, U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aursen, B., Hartup, W. W., & Koplas, A. L. (1996). Towards understanding peer conflict. Merrill- Palmer Quarterly, 42, 76-102.
- Newcomb, A. F., Bukowski, W. M., & Pttee, L., (1993). children's peer relations : A meta-analytic review of popular, rejected, neglected, controversial, and average sociometric status. Psychological Bulletin, 113(1), 99-128. https://doi.org/10.1037/0033-2909.113.1.99
-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3), 357-3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2.3.357
- Pollard. A. (1985). The social world of primary school. Eastbourne : Hole. Rinehart & Winston.
- Putallaz, M. (1983). Predicting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from Their Behavior. Child Development, 54, 1417-1426. https://doi.org/10.2307/1129804
- Figgio, R. E. (1986). Assessment of basic skil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3), 649-669. https://doi.org/10.1037/0022-3514.51.3.649
Cited by
- Acculturation, Social Network,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Chinese Immigrants vol.24, pp.4,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4.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