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Emergency Medical Personnels

구급대원의 외상성 스트레스 영향요인

  • 백미례 (충주대학교 보건생명대학 응급구조학과)
  • Received : 2010.11.15
  • Accepted : 2010.12.17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not only investigates emergency medical personnel's posttraumatic stress(PTS), social support, work burden, and coping style but also identifies related factors which were exerted influence on PTS and active coping method of emergency medical personnels among the firefighter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143 emergency medical personnels who were receiving train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IES-R, consisting of twenty-two question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PTS, method used in Cho's research(2000) that deal with work burden, method used in Oh's article (2006) relating to social support, and sixty-two questions that deals with coping methods. Then the data gathere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4.0 program. P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marriage status, education, and position. High risk group of PTS was 74(51.7%). Work burden, active and passive coping method, and three symptoms in PTS are significantly high(p=0.000) in high risk group. PTS was correlated with work burden(r=0.508, p=0.000), active coping method(r=0.375, p=0.000), and passive coping method(r=0.505, p=0.000) but not with social support. Related factors of PTS were work burden(0.371) and passive coping method(0.366). Also related factors of high risk group of PTS were work burden(odds ratio=1.064, 95% confidence interval:1.031-1.103) and passive coping(odds ratio=1.050, 95% confidence interval:1.022-1.080). Related factors of active coping method were PTS(0.392) and social support(0.158). To minimize the PTS of emergency medical personnels, the new policy should decrease their work burden and passive coping method and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to encourage active coping method.

본 연구는 구급대원의 외상성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업무부담감과 대처형태를 알아보고 외상성스트레스와 적극적 대처에 영향을 주는 영향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9년 4~5월까지 중앙소방학교에서 교육 중인 전국과 C도에서 근무하는 구급대원들을 편의표집하여 총143부가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외상성스트레스 검사는 Weiss(1997)가 다시 제작한 IES-R 도구를 사용하였고 최은숙(2000)이 수정, 개발한 업무부담감 측정도구와 오진환(2006)의 연구에서 수정 보완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와 이장호(1988)등의 연구에서 총 62문항으로 구성된 대처방식을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외상성스트레스 고위험군은 74명(51.7%)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성스트레스 정도는 나이, 결혼, 학력, 직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수준 p=0.000에서 고위험군이 외상성 스트레스의 모든 세 하위영역(t=20.25), 업무부담감(t=5.75), 소극적 대처(t=4.19)와 적극적 대처방법(t=5.61)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성스트레스와 주요변인간 상관관계는 유의수준 p=0.000에서 사회적 지지를 제외한 업무부담감(r=0.508), 적극적 대처(r=0.375), 소극적 대처(r=0.505)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급대원들의 외상성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업무 부담감(0.371)과 소극적 대처(0.366)로 나타났고 또한 외상성 스트레스 고위험군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수로도 업무 부담감(odds ratio=1.064, 95% 신뢰구간:1.031-1.103)과 소극적 대처(odds ratio=1.050, 95% confidence interval:1.022-1.080)로 나타나 일치하였다. 적극적 대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외상성 스트레스(0.392)와 사회적지지(0.158)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급대원의 외상성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해 업무부담감을 줄이고 소극적 대처를 감소시키고 대신 사회적 지지를 높여 적극적 대처를 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화, 이강숙, 김석일, 맹광호, 홍현숙, 정춘화 (2001) 일부소방공무원의 음주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대한 산업의학회지 제13권, 제4호 pp. 401-412.
  2. 권순찬, 송재철, 이수진, 김인아, 고재우, 류현철, 김석현, 김대호, 정승아 (2008) 일개 소방서소방관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193-204.
  3. 고은영 (2004) 일부소방공무원의 업무별 출동충격후 외상성 스트레 스에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4. 김태한 (2006) 소방공무원 현장충격 수용실태의 실증적 분석:성격, 자기통제, 사회적 지지의 통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5. 배점모 (2008) 소방대원의 출동충격, 사회적지지, 대처행태와 PTSD증상 및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6. 백미례 (2009) 소방공무원의 직무별 외상성스트레스, 한국방재학회지, 제9권, 제3호 pp. 59-65.
  7. 백승기 (2007) 소방대원의 외상성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8. 오진환 (2006) 소방대원들의 이차외상성 스트레스, 소진 및 신체적증상의 영향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9. 유지현 (2006) 소방공무원의 PTSD증상과 정서상태,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카톨릭 대학교.
  10. 이장호, 김정희 (1988) 지각된 스트레스,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권, 제1호 pp. 25-45.
  11. 이지영 문나영 홍현기 현명호 (2008) 소방대원의 외상경험, 정서지능과 외상성스트레스장애(PTSD)증상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13호, 제1호 pp. 25-39.
  12. 최윤경, 이민수, 이준상, 신동균 (1997) 삼풍사고 생존자들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고통과의 관계, 대한 신경정신의학지, 제36권, 제4호 pp. 1015-4817.
  13. 최은숙 (2000) 소방대원의 출동충격스트레스에 관한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 Fourth Edition: DSM-IV.American Psychiatric Press, Washington, D.C., pp. 424.
  15. Beaton, R., Murphy, S., Johnson, C., Pike, K. and Corneil, W. (1999) Coping respons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 service personnel. J. of traumatic stress, vol. 12, No. 2, pp. 293-308. https://doi.org/10.1023/A:1024776509667
  16. Corneil, W., Beaton, R., Murphy, S, Johnson, C. and Pike, K (1999)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fighters in Two Countries, J. of Occup. Health Psychology, Vol. 4, No 2, pp. 131-141. https://doi.org/10.1037/1076-8998.4.2.131
  17. Judith, M.L. Lynn, E.A. and Louise, M.F. (2003) Work stres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ED nurses/presonnel, J Emerg Nurs, Vol. 29, No. 1, pp. 23-28. https://doi.org/10.1067/men.2003.7
  18. Folkman, S., and Lazarus, R.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8, pp. 150-170. https://doi.org/10.1037/0022-3514.48.1.150
  19. Murphy, S.A., Beaton, R.D. and Pike, K.C. et al. (1994) Firefighter and paramedics: years of services. job aspirations and burnout. AAOHN Journal. Vol.42, No.11, pp. 534-540.
  20. Satoko M., Masatoshi F., Keiji N. and Taro S. (2006)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job-related stress on burnout: A study of fire service workers. J Emerg Med, Vol. 31 No.1, pp. 7-11.
  21. Weiss, D.S. and Marmar, C.R. (1997) The Impact of event scale- Revised: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Guilford Press, New York pp. 399-411.

Cited by

  1.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119 Paramedics vol.28, pp.4, 201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4.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