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ir Environment Index and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Land Use and Traffic Data In Seoul

대기오염지수와 도시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자료를 바탕으로

  • 이원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원) ;
  • 원종서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원) ;
  • 조창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1.05.23
  • Accepted : 2011.06.1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Recent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there are many efforts to manage it efficiently. As one of the ways to measure the environment in quantitative index,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are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 Air Environmental Index(AEI), which is derived from the U.S. Air Quality Index(AQI), illustrat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study as follows: to find the charateristics of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land-use patterns and daily traffic data that represent AEI and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oul.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도시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환경 지표는 환경을 정량적인 지표로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환경 정책 및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하고 있다. 이 중 대기질 지표는 대기오염 지수를 통해 공기가 얼마나 오염되어 있는지를 표준화하는 지수이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AQI를 국내 대기환경 기준으로 변환한 AEI를 개발하여 대기오염의 정도를 측정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 도시인 서울을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고, 대기오염 지수와 도시공간구조 특성인 행정 동별 토지이용 및 교통 자료간의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대기오염 자동 측정망을 통해 측정된 2007년 대기오염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공간내삽법인 IDW에 의해 전체적인 경향면을 생성하고, 회귀분석, GWR 그리고 대기오염 물질별 시계열적 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