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zing Space Configuration and Character of Exhibition Area in Neo-Classical Museum

신고전주의 뮤지엄의 공간구조분석과 전시영역특성에 관한 연구

  • 오지영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 ;
  • 박혜경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 김석태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4.30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space configuration and exhibition contents in the Neo-classism style museum while carrying out space syntax and visibility graph analysis. Therefore,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survey the status of existing museum analyze their visual perception spac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ultimately utilize their characteristics as basic data in planning out and designing space. As for the research scope, the research selected as research subject 4 Neo-classism style museum in Europe and US that composite set of room to room type and having major space. Research method is that the research analyzed the exhibition space of 4 art museums by using depth-map program which can analyze space with visual graph analysis function and analyzed the visibility among unit areas by each art museum integration and exhibition contents composition. In such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was abl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that induce and adjusts the motion of audience. Visual perception quantitive analysis as in this research will enhance exhibition design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audience and exhibited items when planning out art museum space to be established later on. Therefore, wien museum integration degree are high because of same openings direction and major space, Also another museums major space integrations are high level degree, and Exhibition area is set of high integration area. So, visitors can perceive exhibition contents easily.

Keywords

References

  1. Giulia Camin, museums-masterpieces of the architecture in the world, 2007
  2. Hiller Bill,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995
  3. Hillier & Hanson,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984
  4.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5. 권미주, 김용승, 현대 공공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에 따른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6호, 2007
  6. 박무호,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관람객 움직임의 상관성, 홍익대 박론, 2006
  7. 박종구, 이성훈, 뮤지엄건축 공간배치의 정량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18권 4호, 2009
  8. 배준현, 18세기 프랑스 신고전주의 건축에 관한 연구, 동양대논문집, 제6권 1호, 2000
  9. 이관석, 현대 박물관 건축에서 고전적 전시공간이 재현된 배경과 그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7권 11호, 2001
  10. 이상림, 김용승, 박용환, 박물관 건축에서의 대공간의 기능적 변화와 공간 구성적 특징,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8권 12호, 2002
  11. 이성훈, 공간구문론적 해석에 의한 미술관 공간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론, 2008
  12. 이성훈, 박용환, 뮤지엄건축에 있어서 분리형 전시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5호, 2006
  13. 이주혁, 최재필, 전시공간에서 나타나는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2006
  14. 임채진 외, 21세기 박물관 발전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 문화체육부, 1997
  15. 임현식, 김영욱, 반영운, 도시공간구조와 지가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7호, 2002
  16. 정연주, 박물관 공간구조의 체험적 속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론, 2002
  17. 최윤경, 미술관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학,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6호, 1996
  18. 김홍기, 워싱턴내셔널갤러리, PLUS, 20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