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emistry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the Gifted in Science Used in Middle School Gifted Classes

중학교 영재학급에서 사용 중인 화학영역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분석

  • Received : 2011.04.27
  • Accepted : 2011.06.1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chemistry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the gifted in science in middle school gifted classes and to propose improvements. For this study, 5 chemistry teaching-learning 4-6 hour programs developed for science gifted classes by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KEDI) and 3 chemistry teaching-learning programs developed for science gifted classes by three middle schools in K province were selected. A standard model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was used as tool for analyzing the program targets, program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chemistry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the gifted in science presented well attainable objectives in the program targets. However, most program targets did not offer differentiated objectives from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contents of KEDI stresses intensified education, and also presented a high ratio of sub-elements of creativity, which can enhance gifted creativity. On the other hand, program contents developed by three middle schools focused on acceleration in advancement, and presented low ratio of creativity sub-elements, which could be insufficient in enhancing gifted creativity. Differentiated and personalized, integrated science and interscience, updated research contents were hardly found in programs developed by KEDI and three middle schools. However,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composed to fit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teaching process and the procedures, and were made to self-directed learning. There were no assessment for the feedback after class. Therefor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the gifted in science should be developed further in order to fulfill the objectives of gifted education and gifted characteristics. Also,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infrastructure to carry out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rograms.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재학급에서 사용 중인 화학영역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영재교육의 목적과 영재의 특성에 맞게 개발되었는지를 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4-6차시로 개발한 화학영역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5개와 K도 소재 3개 중학교에서 자체 개발한 화학영역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3개를 영재교육 프로그램 표준안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프로그램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모두 프로그램의 목표에서 성취 가능한 목표를 잘 제시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일반교육과 차별화된 목표는 아니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프로그램들의 내용은 심화 학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창의성 함양 하위요소들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고 있어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에 3개 중학교에서 개발한 프로그램들의 내용은 속진 학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창의성 함양 하위요소들을 적게 포함하고 있어 창의성을 함양시키기에는 좀 부족한 것이었다. 한국교육개발원과 3개 중학교에서 개발한 프로그램들에 영재 간의 수준별과 개별화된 내용, 통합적 및 간학문적인 내용, 최신 연구 내용 등은 부족하였으나, 교수-학습 방법으로 수업 절차나 과정이 수업 목표에 맞게 구성되어 있었고,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평가에서 수업 후 피드백을 위한 평가는 없었다. 따라서 화학영역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영재교육의 목적과 과학영재의 특성에 맞게 개발되어야 하며, 개발된 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2. 김은진 (2006). 과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과학 영재들의 사고 특성 탐색. 초등과학교육, 25(2), 179-190.
  3. 김지영, 하지희, 박국태, 강성주(2008).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에서의 학생 간 대화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1-21.
  4. 김성원, 허명 (2005). 영재교육의 현황과 전망. 서울: 서울시교육과학연구원.
  5. 김형도, 김동진, 박광서, 김은숙, 진동주, 박국태 (2008).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 학급 학생의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인지력 변화 및 일반 학급 학생과의 비교. 대한화학회지, 53(2), 189-201.
  6. 박은이, 홍훈기 (2010).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정서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접근. 영재교육연구, 20(3), 703-720.
  7. 성진숙 (2002).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세 변수: 확산적사고, 과학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환경.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8. 서혜애, 손연아, 김경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 연구(CR 2003-2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송인섭, 한기순 (2008). 한국영재교육의 새로운 지평. 서울: 학지사.
  10. 양규모, 김정섭 (2010). 초등 영재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0(3), 743-765.
  11.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12. 이승택, 김진국, 정재구, 정진우 (2005). 과학 계발활동 프로그램 적용이 과학 성적우수아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4(1), 77-85.
  13. 임길선, Robert E. Yager, 조운복 (2007). 영재성의 지속적 계발을 위한 창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191-200.
  14. 이지향, 김동진, 황현숙, 박세열, 백인환, 박국태 (2010).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20(3), 721-741.
  15.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 (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982.
  16.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 (1997). 과학영재판별도구개발연구(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조연실, 주희영, 김성하, 김희백, 이길재 (2008). 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진화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1), 1-10.
  18. 주희영, 동효관, 김성하, 김희백, 이길재 (2006).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발생학 수업프로그램 적용 효과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2), 257-268.
  19. 최돈형 (2001).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기준 개발. 영재교육연구, 11(2), 59-85.
  20. 한국교육개발원 (2004).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수탁 연구 CR 2004-2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1. 한국교육개발원 (2007). 영재학급․영재교육원 운영실태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수탁연구 CR 2007-6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