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istory of Management of Technology in the United States: Implications in Korea

미국에서의 기술경영 논의의 진화: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김병윤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 정철우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 김길선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기술경영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1.08.30
  • Accepted : 2011.09.2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technology management by taking a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field in the United States. The discipline was established since the World War II when the big research organization was firstly formed in the country. Its focus has varied according to the role of technology in a corporation and the relation of technology and society in general. We identify three distinct stages of the field: R&D management, or project management,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innovation in the 70s and 80s, and the diffusion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its education. The recent discussion on a standard curriculum of technology management illustrates the lack of a coherent identity of the field, however this phenomeno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pathological and it demonstrates the widened interfaces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Furthermore, it implies the possibility and need of diverse approaches in technology management.

본 연구는 미국에서의 기술경영 분야의 발전과정을 통해 기술경영의 정체성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미국에서 기술경영은 2차 대전 전후를 거치면서 현재까지 기술과 사회의 관계의 변화에 따라 내용을 달리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1) 2차 대전 전후의 'R&D 관리' 또는 '프로젝트관리' 단계, (2) 70-80년대 초반의 혁신에 대한 이론화 전개 단계, (3) 기술 경영논의의 확대 및 기술경영교육의 확산 단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경영의 개념 및 이해가 시대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면서 진화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복수적 정체성은 그 자체가 병리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기술과 사회의 접점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기술경영교육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해 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