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on Forest Using GIS

GIS를 활용한 산림녹지의 환경조절적 기능 평가

  • Lee, Woo-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Texas A&M University) ;
  •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우성 (텍사스 A&M 대학교 조경.도시계획학과) ;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9.27
  • Accepted : 2011.10.31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valuation model through the systematic process of selecting the indicators an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on forest using GIS in Deagu for the sustainable forest planning. The 35 indicators as basic items were sele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those were squeezed into the 29 indicators through expert brainstorming. Also, the 8 indicators to evaluate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were selected by the first survey and the 5 final indicators such as carbon sink, temperature decrease, wind formation, water circulation, air purification were determined by MCB analysis using the second survey. The evaluation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the weight of each indicator by AHP analysis using the third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on forest, the functions around the top area of Mt. Ap, Mt. Biseul, Mt. Palgong had more than 66 scores.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s around Mt. Waryong and forest of Chilgok in Buk-gu had less than 40 scor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unction through the sustainable restoration and management in case of forest that the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was lower. Furthermore,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order to establish the preservation area and control development area at the urban, environmental, and forest planning.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산림녹지 계획을 위해 체계적인 지표선정 과정을 통한 평가모형을 구축하고, GIS 기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의 산림녹지에 대한 환경조절적 기능을 평가하였다. 평가지표는 문헌조사를 통한 35개의 기초지표를 선정하였으며,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29개 지표로 축약하였다. 또한, 1차 설문으로 8개의 환경조절적 지표를 선정하였고, 2차 설문에 의한 MCB 분석 과정을 통한 탄소저감, 기온저감, 바람생성, 물순환성, 대기정화의 최종지표를 선정하였다. 평가모형은 AHP 분석에 의해 지표별 가중치를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산림 녹지에 대한 환경조절적 기능을 평가한 결과, 앞산, 비슬산, 팔공산 등 산림녹지의 정상부 및 주변지역에서 66점 이상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반면, 와룡산 및 북구 칠곡지구 주변의 산림녹지는 40점 이하의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환경조절적 기능이 낮은 지역의 경우 산림녹지에 대한 지속적인 복원 및 관리를 통해 기능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지역계획, 도시계획, 환경계획 그리고 산림환경계획 등에서 보전지역 설정 및 개발지역 규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덕, 박영규, 김은희. 2008.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10-21.
  2. 김경하, 이천용, 이원규. 1992. 유역의 입지조건이 갈수기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4:75-86.
  3. 김영인, 여홍구. 2009.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한 도시의 창조성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4(2):71-84.
  4. 김형호, 정세경, 정주상. 2006.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1-11.
  5. 박경훈, 정성관. 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35-45.
  6. 박영규, 노혜정, 전준헌, 김형호. 2010. 사유림의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기능유형 및 우선순위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4(6):51-59.
  7. 박은진, 강규이, 이현정. 2007. 물순환을 고려한 도시녹지 기능 제고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180쪽.
  8. 박창석, 오규식, 이영숙, 김재호, 이동우, 김기돈. 2007.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연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288쪽.
  9. 배민기, 정환도, 손영모. 2009.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도시내 녹지공간의 역할: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환경정책 17(2):181-199.
  10. 사공정희. 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2쪽.
  11. 산림청. 1998. 제4차 산림기본계획. 45쪽.
  12. 서수현, 유리화, 이계한, 안기완. 2006. GIS 적용에 의한 산림기능평가: 전남대학교 장성 연습림을 대상으로. 산림경제연구 14(2): 45-54.
  13. 송봉근, 박경훈. 2010.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4-127.
  14. 안태원. 2010. 저탄소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녹지계획지표 수립 연구: 춘천시를 대상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7쪽.
  15. 엄대용. 2006. 원격탐사 자료에 의한 지표온도 추출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159-171.
  16. 윤민호. 2009. 원격탐사를 활용한 녹지가 도시 기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4쪽.
  17. 이경학. 1995. 산림기능잠재력평가 및 분류시스템. 산림과학논문집. 52:124-137.
  18. 이성열. 2007. 도시지역 토지유형별 열환경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수원시 이의동을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0쪽.
  19. 이우성. 2011.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9쪽.
  20. 이우성, 박경훈, 정성관, 유주한, 김경태. 2009. 산지습지의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관리권역 설정: 경상남도 재약산의 산들늪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1-17.
  21.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22. 이원열, 주진순, 김사일, 김성일. 1991. 자연휴양림 예정지 적지평가.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3:71-80.
  23. 이종용, 이희연. 2005.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지리학회지 40(1): 27-46.
  24. 정주상, 김형호, 차재민, 박영규. 2002. GIS 응용에 의한 산림기능 적합도 분석을 위한 산림구획기법. 한국임학회지 91(1):1-9.
  25. 조용현, 조현길. 2002. 서울시 도시녹지의 대기 정화효과.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4): 51-60.
  26. 조현길. 1999. 강원도 일부도시의 경관내 탄소흡수 및 배출과 도시녹지의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27(1):39-53.
  27. 조현주. 2007. 경관생태계획 모형 및 적용기준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5쪽.
  28. 최경, 김태훈. 1982. 산사태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29:1-37.
  29. 한수진, 이우균, 곽두안. 2006.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 13-19.
  30. Andrade, H. and R. Vieira. 2007. A climatic study of an urban green space: the Gulbenkian Park in Lisbon (Portugal). Finisterra-Revista Portuguesa de Geografia, XLII(84):27-46.
  31. Beven, K.J. and M.J. Kirkby.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24: 43-69. https://doi.org/10.1080/02626667909491834
  32. Jo, H.K. and E.G. Mcpherson. 1995. Carbon storage and flux in urban residential greenspac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45: 109-133. https://doi.org/10.1006/jema.1995.0062
  33. Kuehl, R.O. 2000. Design of Experiments: Statistical Principles of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Duxbury/Thomson Learning, Pacific Grove. 666pp.
  34. Marks, R., and M. Müller. 1992. Anleitung zur Bewetung des leistungsverm.gens des Landschaftshauhaltes(BALVL). Forschungen zur deutschen Landeskunde Bd 229: 103-107.
  35. Milne, R., and T.A. Brown. 1997. Carbon in the vegetation and soils of Great Britai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49(4):413-433. https://doi.org/10.1006/jema.1995.0118
  36. Nowak, D.J., D.E. Crane and J.C. Stevens. 2006. Air pollution removal by urban trees and shrubs in the United States.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4: 115-123. https://doi.org/10.1016/j.ufug.2006.01.007
  37. Richard, D. 2001. FELSA-Tools ArcView Software Extension User Guide. North Country and Southern New Hampshire Resource Conversion and Development Area Councils. 18pp.
  38. Riess, W. 1986. Konzepte zum biotopverbund im arten-und biotopschutz programm Bayern. Laufener Seminarbeitrag 10: 102-115.
  39. Saaty, T.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USA. 287pp.
  40. Upmanis, H., I. Eliasson and S. Lindqvist. 1998. The Influence of green areas on nocturnal temperatures in a high latitude city(Goteborg, Swede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18:681-700. https://doi.org/10.1002/(SICI)1097-0088(199805)18:6<681::AID-JOC289>3.0.CO;2-L
  41. Xiao, Q.F. and E.G. Mcpherson. 2002. Rainfall interception by Santa Monica's municipal urban forest. Urban Ecosystems 6:291-302. https://doi.org/10.1023/B:UECO.0000004828.05143.67

Cited by

  1. Causes of the Difference of Inhabited Altitudes above Sea Level of Fairy Pitta(Pitta nympha) on Jeju Island Followed by Forest Landscape Through the Comparison of Landsat Images and the Literature Review vol.16, pp.4,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4.079
  2. 오염농도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한 도시림의 대기정화기능 계량화 vol.15, pp.2,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