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Animal's Habitat Map by GIS

GIS에 의한 3차원 동물서식도 제작

  • Park, Joon-Kyu (Dept. of Civil Engineering, Seoil University) ;
  • Kim, Min-Gyu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8.04
  • Accepted : 2011.12.15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At present, about 1.6 million bio-specie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world. Approximately 30 thousand indigen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and about fifteen thousand species of biology inhabit in Korea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where has been lived 133 species at 60 percent of endangered species is a very important wildlife protection area.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about substantiv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wildlife is urgently needed to protect and manage endangered species. In this study, main habitats about animals were registered using GIS program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3 dimensional habitat map was produced. Also, new plan was suggested to preserve and manage animals in national parks by producing 3 dimensional habitat map. The habitat map was produced using coordinate file of animals, polygon file about boundary of national park, and ASTER GDEM. New conceptional animal habitat map will be used by means of the valuable information when the plans for preservation/management and habitat protection about animals are designed.

현재 세계에 밝혀진 생물종은 160만여 종으로 한국에 밝혀진 자생종은 3만여 종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한국 국립공원 생물종은 1만5천여 종에 이르고 있다. 이 중 한국 국립공원내 멸종위기종은 133종으로 전체 멸종위기종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보호와 관리를 위해 실질적인 분포와 이들의 서식지 관계에 대한 것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는 동물 개체군을 대상으로 GIS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 서식지를 등록하고, 3차원 서식도를 제작함으로써 국립공원에 서식 중인 동물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식물보호단 동물좌표 파일과 국립공원 경계 폴리곤파일 및 ASTER GDEM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서식도를 제작하였다. 최신의 지형정보와 서식지정보의 융합을 통해 구축된 새로운 개념의 동물서식도는 향후, 동물의 종별 보호 관리 계획 및 서식지 보호 계획 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호, 김창재, 손홍규, 이원희. 2010.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ASTER DEM 과 SRTM DEM의 구축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8(1):169-178.
  2. 김성옥. 2008. 두루미와 재두루미 서식지 이용 분석을 통한 한강하구 생태계 보전관리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수경, 김남신, 정석환, 김영훈, 성하철, 박시룡. 2008. GIS를 이용한 황새 번식지의 환경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 125-137.
  4. 목영규. 2003.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의 재설정에 관한 연구 : 지리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문화재청. 2007.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보호방안 연구보고서. 1-93쪽.
  6. 서정욱, 김재수, 박원규. 2000. GIS기법을 이용한 지형적 특성에 따른 월악한 소나무 연류생장의 이질성 규명. 생태학회지 23(1): 25-32.
  7. 양수영, 정인성, 송길종, 유남현, 김원중. 3차원 GIS를 이용한 생태지도의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37(1B):289 -293.
  8. 이수랑, 정종철, 박종욱. 2007. 한국산 진범 종집단의 서식상황: GIS를 이용한 분석과 검증. 한국GIS학회지 15(2):135-146.
  9. 이슬기,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이우성. 2010. GIS를 이용한 산림성 조류의 서식지 예측 모형 및 지도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 (1):62-73.
  10. 정영선. 2009. 습지를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대체서식지 계획 모형 - 군포시 당동 신기마을 맹꽁이 서식처를 사례로 -.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최진우. 2004. 녹지축의 야생조류 이동과 서식처 기능강화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생태.자연도를 이용한 야생 동.식물 서식지 관리방안연구. 1-73쪽.
  13. Brambilla, M., F. Casale, V. Bergero, G. M. Crovetto, R. Falco, I. Negri, P. Siccardi and G. Bogliani. 2009. GISmodels work well, but are not enough: habitat preferences of Lanius collurio at multiple levels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Biological Conservation 142(10):2033-2042. https://doi.org/10.1016/j.biocon.2009.03.033
  14. Chefaoui, R.M., J. Hortal and J.M. Lobo. 2005. Potential distribution modelling, niche characterization and conservation status assessment using GIS toos: a case study of Iberian Copris species. Biological Conservation 122(2):327- 338. https://doi.org/10.1016/j.biocon.2004.08.005
  15. Moran, K. and C.E. Button. 2011. A GIS model for identifying eastern spadefoot toad(Scaphiopus holbrookii) habitat in eastern Connecticut. Applied Geography 31(3):980-989. https://doi.org/10.1016/j.apgeog.2011.01.004
  16. Powell, M., A. Accad and A. Shapcott. 2004.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predictions of past, present habitat distribution and areas for re-introduction of the endangered subtropical rainforest shrub Triunia robusta(Proteaceae) from south-east Queensland Australia. Biological Conservation 123(2):165-175.
  17. Store, R. and J. Jokimaki. 2003. A GISbased multi-scale approach to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Ecological Modelling 169(1):1-15. https://doi.org/10.1016/S0304-3800(03)00203-5
  18. Urbanski, J. A. and M. Szymelfenig. 2003. GIS-based mapping of benthic habitat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1):99-109. https://doi.org/10.1016/S0272-7714(02)00125-7
  19. http://main.knps.or.kr.

Cited by

  1. Home Range Analysis of a Pair of Gorals (Naemorhedus caudatus ) Using GPS Collar According to the Elevation Change, in the North Gyeongbuk Province(Uljin) of Korea vol.18, pp.1, 2015,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1.135
  2. Analysis of Hibernating Habitat of Asiatic Black Bear(Ursus thibetanus ussuricus) based on the Presence-Only Model using MaxEnt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Comparative Study of Habitat for Non-Hibernating Period vol.19, pp.3, 2016, https://doi.org/10.11108/kagis.2016.19.3.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