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TML5 Canvas를 활용한 시각적 공간분석 환경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mputing Environment for Geovisual Analytics Using HTML5 Canvas

  • 박미라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 박기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안재성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 Park, Mi-Ra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Key-Ho (Dep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Ahn, Jae-Seong (Dept. of Satellite Geoinformatic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투고 : 2011.09.02
  • 심사 : 2011.10.12
  • 발행 : 2011.12.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HTML5 canvas를 활용하여 시각화 도구와 사용자와의 동적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웹 기반의 시각적 공간 분석 환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분석 환경은 군집지도, 애니메이션 지도, 시간적 평행좌표 그림, 시계열 히트 맵 차트와 같은 시각화 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환경에서는 동일한 군집으로 분류된 지역의 속성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다중창 배열과 선별적 강조를 기반으로 하는 패턴 탐색이 가능하다. 그리고 크로스 브라우저를 지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 기기를 사용하는 컴퓨팅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web-based computing environment for geovisual analytics using HTML5 canvas. The computing environment supports visualization tools and user's interaction. The visualization tools are cluster map, animated map, temporal parallel coordinate plot, and temporal heat map chart. Users can explore the temporal changes of cluster using multiple view and brushing technique. The computing environment that works well across browsers is used in the computing environment with multiple de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섭, 이기원. 2011. 위성정보 공간 메타데이터 검색 하이브리드 앱 설계 및 시험 구현. 한국원격탐사학회지 27(2):203-211. https://doi.org/10.7780/kjrs.2011.27.2.203
  2. 김남신, 김석주. 2011. GIS와 지오웹 플랫폼을 활용한 웹기반 주제도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107-117.
  3. 박기호, 김희원. 2003. SVG를 이용한 지리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GIS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5-20쪽.
  4. 박미라, 박기호, 안재성. 2011. 동적 타임 워핑을 통한 시계열적 유사성에 따른 지역 분류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5(3): 387-395.
  5. 안재성, 김형태. 2010. HTML5를 이용한 모바일 웹 기반의 지오웹 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3):375-381.
  6. 안재성, 이양원, 박미라, 박기호. 2006. 웹2.0환경에서 동적상호작용 중심의 시각적 공간자료분석. 국토지리학회지 40(4):585-594.
  7. 이원석. 2010. HTML5와 모바일웹. TTA Journal 128:50-54.
  8. Andrienko, G., N. Andrienko, P. Jankowski, D. Keim, M.J. Kraak, A. MacEachren and S. Wrobel. 2007. Geovisual analytics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setting the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1(8):839-857. https://doi.org/10.1080/13658810701349011
  9. Boulos, M.K., J. Warren, J. Gong and P. Yue. 2010. Web GIS in practice VIII: HTML5 and the canvas element for interactive online mapp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9(1):1-13. https://doi.org/10.1186/1476-072X-9-1
  10. Brezzi, M., M. Jern and L. Thygesen. 2011. OECD explorer : making regional statistics come alive through a geovisual web-tool. Statistika 48(2):92- 106.
  11. Knapp, L. 1995. A task analysis approach to the visualization of geographic data. In: Nyeres, T.L., Mark, D.M., Laurini, R. and Egenhofer, M.J.(ed.). Cognitive Aspect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Dordrecht, Kluwer Academic, USA, pp.355- 371.
  12. Rinner, C. 2007. A geographic visualization approach to multi-criteria evaluation of urban quality of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1(8):907-919. https://doi.org/10.1080/13658810701349060
  13. Takatsuka, M. and M. Gahegan. 2001. Sharing exploratory geospatial analysis and decision making using GeoVISTA Studio: from a desktop to the Web.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Decision Analysis 5(2):129-139.
  14. Wehrend, S. and C. Lewis. 1990. A problemoriented classification of visualization techniques. IEEE Proceedings of the First IEEE Conference on Visualization: Visualization '90. San Francisco, CA, Oct. 23-Oct. 26, 1990. pp.139-143.
  15. http://jquery.com.
  16. http://www.tile5.org.

피인용 문헌

  1. Geovisualization of Coastal Ocean Model Data Using Web Services and Smartphone Apps vol.22, pp.2, 2014, https://doi.org/10.12672/ksis.2014.22.2.063
  2. 표준기반 웹 지리정보 서비스 구현방안 vol.16, pp.1,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1.047
  3. 동적 파티클과 HTML5를 이용한 웹기반 해양정보 가시화시스템 vol.23, pp.12, 2011, https://doi.org/10.5626/ktcp.2017.23.12.660
  4. 기업 직무 정보를 활용한 OOPP(Optimized Online Portfolio Platform)설계 vol.11, pp.5, 2011, https://doi.org/10.17661/jkiiect.2018.11.5.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