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eep Disturbanc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수면장애, 신체활동 및 건강관련 삶의 질

  • Received : 2011.05.25
  • Accepted : 2011.08.17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sleep disturbanc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ed pretest dataset of COPD symptom management intervention study (N=245). Measures included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e COPD and asthma sleep impact scale, and 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of HRQO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by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SD) of HRQOL and sleep disturbance were 36.04 (19.43) and 14.33 (6.20), respectively. About 32% of participants were physically inactive. The multivariate approach showed the patients who have more sleep disturbance (β=.27), lower levels of FEV1 % predicted (β=-.23), lower physical activities (β=-.19), lower household income (β=-.16), and diagnosed longer than 5 years (β=.14) reported lower HRQOL (R2=.34).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roving the quality of sleep and physical activities can be efficient strategies for HRQOL in patients with COPD. Future research in enhancing HRQOL through improving sleep quality and physical activities is needed.

목적: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환자의 신체활동, 수면 장애,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COPD 환자의 증상관리중재연구의 사전 조사 자료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성 조지 호흡기계 설문지, 국제신체활동 설문지,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천식의 수면영향 설문지를 이용하여 6개의 병원에서 자료수집이 이루어 졌으며, 총 245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대상자의 특성, 대상자의 신체활동, 수면장애,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 및 연구 개념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술적 통계, ANOVA,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수면장애의 평균(표준편차)은 각각 36.04(19.43)과 14.33(6.20)이었다. 대상자의 32%가 비활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적 접근에서 수면장애가 심하고(β=.27), FEV1 % predicted가 낮고(β=-.23), 신체활동량이 적고(β=-.19), 가정의 총수입이 낮고(β=-.16), COPD 진단을 받은 지 5년 이상(β=.14)이 된 대상자들에게서 유의하게 삶의 질이 낮았다(R2=.34). 결론: 본 연구결과는 COPD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으로 수면의 질 향상과 신체활동량 증진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하며 이들 중재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이 추후 필요하다 하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2009-0088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