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of Korea: Analysi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

한국노인 당뇨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Received : 2011.02.17
  • Accepted : 2011.08.22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the Korean elders with diabetes mellitu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The survey included 9774 adults aged over 64 years with diabetes mellitus and 226 samples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2.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quality of life was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alcohol intake, the level of stress awareness, walking time, and suicidal thoughts. The amount of alcohol intake, the level of stress awareness, walking time, and suicidal thoughts accounted for 34.5% of quality of lif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researchers need to consider age, suicidal thoughts, and drinking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Korean elders with diabetes mellitus and nursing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issues needs to be developed.

본 연구는 '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가진 우리나라 노인들의 생활습관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한 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에 모두 응답한 자로서 분석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65세 이상이며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226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평균 7.35 점이었으며 당뇨병 노인의 삶의 질과 상관관계를 보인 생활습관 관련 변수는 한번에 마시는 음주량, 하루평균 수면시간, 스트레스 인지율과, 자살 생각률, 걷기 지속시간이었으며 이 변수들 중에서 당뇨병 노인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는 한번에 마시는 음주량, 스트레스 인지율, 자살 생각률, 걷기 지속시간이었고 대상자의 삶의 질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4.5%, 수정된 R2값은 .330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당뇨병이라는 만성질환과 노년기라는 이중의 고통을 겪고 있는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은 그들의 생활습관들 중 지속적으로 걷기와 스트레스, 자살생각에 영향을 받으며 한번에 마시는 음주량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아 신체적, 정서적 측면 등 다각도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당뇨병을 가진 노인 스스로 자신의 생활 습관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교육과 간호중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