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Fantastic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Fashion

현대패션에 반영된 판타스틱(The Fantastic)의 표현특성

  • Kim, Dong-Ok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Fashion Industry) ;
  • Choi, Jung-Hwa (Center for Beautiful Ag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긴동욱 (한국패션산업연구원) ;
  • 최정화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04.16
  • Accept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Various media are expanding the fantastic expression methods and sphere wider than now. As an intermediate for expressing fully self-desires, fashion of the day has surfacing an important concept called fantastic that does not exist and surpasses reality in expressing the ideal body of a desiring body. Goth and cospre are personal expressions of movie costumes that visualize virtual reality as representative of fantastic fashions. The fantastic is a modem concept putting together SF, fantasy, magical realism, fable, and surrealism. Studies in fashion fields related to fantastic have treated fantastic illiberally and peripherally owing to the centering on the SF genre or fantasy. The thesis that dealt with an important fashion as an external favorite as well as the socio-cultural contents of the expressed body in genre expression remains inadequate. In research methods, this study carried out theoretical reviews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the fantastic through literature data that includes local and international theoretical books, monographs, and dissertations that are related to the fantastic. The experimental analysis was executed by collecting fashion works shown after 2000 and included in special fashion editions, collection magazines, Internet materials, and monographs. The results show that the categorization of express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fantastic spheres) appeared as 5 kinds such as uncanny borderline, cyborg grotesque, heroic superman, myth allegory, and unconscious meaninglessness.

Keywords

References

  1. 김보민. (2005). 다중적 공간구성을 통한 회화적 일탈.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윤아. (2003). 포켓몬 마스터 되기. 서울: 살림.
  3. 김재홍. (2003). 그리스 사유의 기원. 서울: 살림.
  4. 러츠키, R. L. (1999). 하이테크네: 포스트휴먼 시대의 예술, 디자인, 테크놀로지. 김상민, 김상규, 박노영, 박해천, 윤원화 역 (2004). 서울: 시공사.
  5. 류수현. (2006). 판타지 영화의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슈퍼영웅의 파워 이미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6. 문유진. (2007). 포스트휴먼 시대 사이보그 몸 이미지 연구: 오를랑과 스텔락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서명자. (2005). 의상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영화 여자 주인공 의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손지연. (2007). 현대미술과 알레고리 해석: 고전적 알레고리와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송태현. (2003). 판타지: 톨킨, 루이스 롤링의 환상세계와 기독교. 서울: 살림.
  10. 양숙희, 양희영. (2005). 현대패션에 나타난 신화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5(1), 151-164.
  11. 오여명. (2003). 판타지 스타일: MMORPG의 그래픽 스타일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유재희. (2005). 장르에 따른 영화이해와 해석-판타지 장르를 중심으로-. 교육교회, (341), 60-61.
  13. 이미영. (2005). 판타지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신영. (2005). Visual Communication 측면에서 접근한 판타지(Fantasy) 장르에 관한 연구: 만화,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유선. (2005). 판타지 문학의 이해. 서울: 역락.
  16. 이주현. (2006). 권정생의 리얼리즘 동화와 판타지 동화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전금자. (2000). 현실과 허구의 구조적 와해를 반영하는 회화의 표현연구: 남미문학의 마술적 사실주의 경향과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잭슨, 로즈메리. (1981). 환상성: 전복의 문학. 서강여성문학 연구회 역 (2001). 서울: 문학동네.
  19. 최성훈. (2006). 판타지 效用論에 대한 또 다른 接近: 프로이트의 ‘꿈의 解釋’을 中心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최정화. (2005). 현대패션에 나타난 고스(goth) 이미지의 미적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2), 153-161.
  21. Bolton, A., & Chabon, M. (2008). Superheroes: Fashion and fantasy. New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2. Joanne, E. (2000). The fashioned body. Cambrige: Polity Press.

Cited by

  1. Expressive Methods of Uncanny Image in Contemporary Fashion vol.65, pp.6, 2015, https://doi.org/10.7233/jksc.2015.65.6.099
  2. A Study on Expression Types of Fantasy in Movie Costumes for 'Alice In Wonderland' - Focused on the Theory of Fantasy in Literature - vol.16, pp.1, 2014, https://doi.org/10.5805/SFTI.2014.16.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