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Manual Acupuncture on the Waves of the Electroencephalogram -Typical Electrode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ave Form-

자침수기가 뇌파에 미치는 영향 -대표도자 및 파형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Yoon, Ga-Young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Seung-Deok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 ;
  • Han, Seung-Moo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College of Electronic Information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 Kim, Tae-Min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College of Electronic Information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 Seon, Jong-In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ang, Jung-Won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Nam, Dong-Woo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Choi, Do-Young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Jae-Dong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윤가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이승덕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일반대학원 한의학과 침구학교실) ;
  • 한승무 (경희대학교 전자정보대학 생체의공학과) ;
  • 김태민 (경희대학교 전자정보대학 생체의공학과) ;
  • 선종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강중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남동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최도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이재동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Received : 2011.06.11
  • Accepted : 2011.06.14
  • Published : 2011.06.20

Abstract

Objectives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nual acupuncture at the $LI_4$, $ST_{36}$ and $LR_3$ on normal human EEG (Electroencephalogram). And the second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 of EEG wave form using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 32 channel EEG measurement was carried out in 25 healthy participants (23 males and 2 females). EEG was measured for 21 minutes including 15 minutes of retention time. In this study, power spectrum was used as a measure of complexit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4, O1, Fz, Pz, Cz, FCz, CP4, FC4, TP7, FT7 among 32 electrodes, ${\delta}$, $\theta$ and ${\beta}$ wave increased during 0-3 time intervals, and especially in case of TP7, FT7 ${\alpha}$ wave spontaneously decreased during 12~15 time intervals in manipulation group. 2. Between $\theta$ and ${\beta}$ wave and $\theta$ and ${\delta}$ wav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C4, O1, Fz, Pz, Cz, FCz, CP4, FC4, TP7, FT7 according to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3. Between ${\alpha}$ and ${\beta}$ wav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P7, FT7 according to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P7 and FT7 could be typical electrodes representing change of EEG after manipulated acupuncture at the $LI_4$, $ST_{36}$ and $LR_3$.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 of EEG wave form appear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ta$ and ${\beta}$ wave, $\theta$ and ${\delta}$ wave and ${\alpha}$ and ${\beta}$ wave.

Keywords

References

  1. 임종국. 침구치료학. 서울 : 집문당. 2001 : 177, 181.
  2.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 中. 파주 : 집문당. 2008 : 266.
  3. White AR, Ernst E. A trial method for assessing the adequancy of acupuncture treatments. Altern Ther Health Med. 1998 ; 4(6) : 66-71.
  4. Kong J, Fufa DT, Gerber AJ, Rosman IS, Vangel MG, Gracely RH et al. Psychophysical outcomes from a randomized pilot study of manual, electro, and sham acupuncture treatment on experimentally induced thermal pain. J Pain. 2005 ; 6(1) : 55-64. https://doi.org/10.1016/j.jpain.2004.10.005
  5. Streitberger K, Steppan J, Maier C, Hill H, Backs J, Plaschke K. Effects of Verum Acupuncture Compared to Placebo Acupuncture on Quantitative EEG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Healthy Volunteers. J Altern Complement Med. 2008 ; 14(5) : 505-13. https://doi.org/10.1089/acm.2007.0552
  6. Rosted P, Griffiths PA, Bacon P, Gravill N. Is there an effect of acupuncture on the resting EEG?. Complement Ther Med. 2001 ; 9(2) : 77-81. https://doi.org/10.1054/ctim.2001.0435
  7. 이용섭. 外關 전침 자극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3.
  8. 김수현. 內關, 外關 전침자극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3.
  9. 이상룡, 이태영. 삼음교-현종 자침이 EEG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3 ; 20(3) : 9-27.
  10. 이태영, 이광규, 장윤성, 육상원, 이창현, 이상룡. 곤륜의 전침 자극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3 ; 20(2) : 31-46.
  11. 서상수, 권순철, 이상룡. 신문(H7) 전침 자극이 EEG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4 ; 21(1) : 29-40.
  12. 임진택. 湧泉(KI1) 전침 자극이 EEG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4.
  13. 홍승원, 윤대식, 이상룡. 勞宮(PC8) 전침 자극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7 ; 24(2) : 193-216.
  14. Haker E, Egekvist H, Bjerring P. Effect ofsensory stimulation(acupuncture) on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activities in healthy subjects. J Auton Nerv Syst. 2000 ; 79(1) : 52-9. https://doi.org/10.1016/S0165-1838(99)00090-9
  15. 이현진, 이동건, 황지혜, 조현석, 김경호, 김갑성. 心兪穴 자침이 HRV(Heart Rate Variability)로 측정한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5) : 1-12.
  16. 김희권. 이상훈. 김용석. 膽正格 刺鍼이 밤번근무 후 간호사의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4) : 13-23.
  17. 정인태, 이상훈, 김수영, 차남현, 김건식, 이두익, 이재동, 임사비나, 이윤호, 최도영. 만성두통환자에 대한 침치료가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3) : 148-55.
  18. Backer M, Grossman P, Schneider J, Michalsen A, Knoblauch N, Tan L, Niggemeyer C, Linde K, Melchart D, Dobos GJ. Acupuncture in migraine: investigation of autonomic effects. Clin J Pain. 2008 ; 24(2) : 106-15. https://doi.org/10.1097/AJP.0b013e318159f95e
  19. 강문수, 김락형. 정신적 스트레스와 神門(HT7) 刺鍼이 정상성인의 심박변이도(HRV)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 ; 20(1) : 165-76.
  20. Hsu CC, Weng CS, Liu TS, Tsai YS, Chang YH. Effects of electrical acupuncture on acupoint BL15 evaluated in terms of heart rate variability, pulse rate variability and skin conductance response. Am J Chin Med. 2006 ; 34(1) : 23-36. https://doi.org/10.1142/S0192415X06003606
  21. 김후동, 고형균, 김창환. PubMed 와 대한침구학회지 논문 검색을 통한 침료법과 뇌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동향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4) : 188-200.
  22. 문상관, 김영석, 박성욱, 정우상, 고창남, 조기호, 배형섭, 이재동, 김덕윤. SPECT를 이용한 뇌경색 환자의 건측 합곡-곡지 전침치료가 뇌관류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1) : 111-8.
  23. 김일두, 오희홍, 송호천, 범희승, 변재영, 안수기. 삼족리 전침자극이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핵의학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2) : 18-26.
  24. 윤종화, 황민섭, 배건태, 이수홍, 이승덕, 장준혁, 김경호, 장용민, 변우목, 김갑성. fMRI를 이용한 조해혈($KI_{6}$) 자침이 대뇌피질 운동영역의 활성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5) : 60-9.
  25. 홍권의, 이병렬, 이현, 임윤경, 김연진. 삼음교($SP_{6}$) 전침자극이 fMRI상 뇌활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3) : 86-103.
  26. 박기영, 이병렬, 이현, 임윤경, 홍권의, 김연진. 태계($KI_3$) 전침자극이 fMRI상 뇌활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3) : 194-208.
  27. 강재희, 이현, 이병렬, 홍권의, 임윤경, 김연진. 복류($KI_{7}$) 전침자극이 Functional MRI상 뇌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4) : 66-84.
  28. 김정호, 이현, 임윤경, 홍권의, 이병렬, 김연진. 음릉천($SP_{9}$)의 전침자극이 Functional MRI상 뇌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4) : 114-33.
  29. 김영일, 김영화, 임윤경, 이현, 이병렬, 김연진. 족삼리($ST_{36}$)의 전침자극이 fMRI상 뇌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5) : 133-50.
  30. 이순호, 신경호, 김종욱. 중풍칠처혈 자침이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3) : 83-98.
  31. 문상관, 조기호, 고창남, 김영석, 배형섭, 이경섭. 뇌경색 환자의 뇌혈류에 대하여 건측 및 환측 침치료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경희의학. 2000 ; 16(1) : 94-101.
  32. 서효석, 윤영대. 경혈에 적용한 온침점 자극치료가 두통환자의 중대뇌동맥 혈류속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경락경혈학회지. 2008 ; 25(3) : 29-41.
  33. 이주형, 이홍민, 정병식, 윤형석, 조성규, 이상훈, 전형준, 남상수, 김용석. 백회혈 자침이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6) : 105-13.
  34. 변혁, 이진호, 정찬영, 김은정, 이재동, 최도영, 김갑성, 이승덕. 뇌파 관련 국내 한의학 연구에 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1) : 137-48.
  35. 선종인, 이승덕, 한승무, 박미주, 강중원, 남동우, 윤가영, 최도영, 이재동. 자침수기가 뇌파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11 : 28(2) : 27-42.
  36. Cooper R, Osselton JW, Shaw JC. Origin of the electroencephalogram. In EEG Technology(3rd edition). Boston : Butterworths. 1980.
  37.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 上. 파주 : 집문당. 2008 : 24, 63, 257.
  38. 김성철. 침감 및 침향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3) : 201-14.
  39. Hugh MacPherson, Richard Hammerschlag, George Lewith, Rosa Schnyer. Acupuncture Research Strategies for Estavlishing an Evidence Base. Elsevier Korea. 2008 : 28.
  40. 한상익, 전양환, 이창욱. 알코올의존 환자에서 알코올이 뇌파, 사건관련전위 P300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2000 ; 39(5) : 944-54.
  41. 박우순, 이태영, 김수용, 이광규, 육상원, 이창현, 이상룡. 신맥 조해의 전침자극이 치매환자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2) : 67-78.
  42. 한선호 외. 임상뇌파. 일조각. 1998 : 1-3. 50-1.
  43. 김대식, 최장욱. 뇌파검사학. 서울 : 고려의학. 2001 : 49-55. 129-50.
  44. 이창섭, 노재영. 뇌파학입문. 서울 : 하나의학사. 1997 : 47-57.
  45. John N Demos. Neurofeedback. New York : Norton. 2005 : 112-21.
  46. Mark S Schwartz. Biofeedback. New York : Guiford. 2003 : 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