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지털 항공영상의 도화성과를 이용한 소축척 수치지도 제작

Small Scale Digital Mapping using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 Map

  • 최석근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부) ;
  • 오유진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1.03.21
  • 심사 : 2011.04.25
  • 발행 : 2011.04.30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촬영되고 있는 고해상도 디지털 항공영상자료를 가지고 제작된 대축척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소축척 수치지도를 제작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 및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치지도지형 지물들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들 자료를 기초로 축소편집 작업 공정에 따라 자료를 입력, 지형 지물항목정리 및 삭제, 자료편집 및 검수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8개의 불필요한 지형지물을 삭제하였고, 1/5,000 수치지도 정확도에 만족하였으며, 자료크기와 지형지물 수는 증가하였으나, 이는 디지털 항공영상의 표현능력이 우수하여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항공영상에 의한 대축척 수치지도를 가지고 소축척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것은 표현능력이 우수하여 질 좋은 수치지도 정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and its usefulness of drawing small-scale digital map by using the large-scale digital map which was producted with high-resolution digital aerial photograph which are commonly photographed in recent years. To this e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eature categories on the digital map was conducted, and this map was processed by inputting data, organizing, deleting, editing, and supervising featur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generalization process. As a result, 18 unnecessary feature codes were deleted, and the accuracy of 1/5,000 for the digital map was met. Although the size of the data and the number of feature categories increased, this was proven to be shown due to the excellent description of the digital aerial photograph. Accordingly, it was shown that drawing a small-scale digital map with the large-scale digital map by digital aerial photograph provided excellent description and high-quality information for digital map.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지리정보원(1995)", 수치지도작성작업규칙(건교부령 제17호)", pp. 11-13
  2. 국토지리정보원(1999), "대축척수치지도의소축척변화 및 래스터지도제작에 관한 연구", pp. 23-26.
  3. 국토지리정보원 (2006), 지도축소편집자동화시스템개발 III
  4. 이재기, 최석근, 박기석 (2003), 수치지도 Ver 2.0을 이용 한 일반화 처리공정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21 (1), pp. 37-44.
  5. 이현직, 구대성, 박찬호 (2010), 고해상도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국가기본도 고도화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1호, pp. 135-143.
  6. 최석근, 오유진 (2010), 디지털 항공영상 성과를 이용한 대축척 수치지도 축소편집,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논문집, 제29권 제2호, pp. 141-146.
  7. Douglas, D. H. and T. K. Peucker (1973), "Algorithm s for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points Required to Representa Digitized Line or Its Character", The Canadian Carto grapher, Vol. 10, No. 2, pp. 112-123. https://doi.org/10.3138/FM57-6770-U75U-7727
  8. McMaster, R. B., and Shea, K. S. (1992), "Generalization in Digital Carto graphy",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 pp.17-28.
  9. White, E. R. (1985), "Assessment of Line Generalization Algorithms Using Characteristic Points", The American Cartographer, Vol. 12, No. 1, pp. 17-28. https://doi.org/10.1559/152304085783914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