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Resurrection of Administration Organization for the Realization of Super Nation of Maritime and Fishery

해양강국 실천을 위한 행정조직 부활의 필요성 연구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2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Roman thinker, Cicero said, "The Nations that rule the sea, rule the world". In the world history, the countries done critical rol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sea. The world history is called as the histories of the countries which governed the sea, such as Phoenicia, Greece, Carthago, Roma, Portugal, Spain, England, and USA. The sea is not only th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basis, serving as the origin of resources and channel of communication, logistics and distribution but also the area of dreams and imaginations and ground of potentiality and visions. This paper reviewed the major countries and their histories to realize the vision of Korea, super power country of maritime and fishery. Main maritime policies and its core issues and prospects of Korea were reviewed. And on the basis of these reviews, the vision of super power country of maritime and fishery was suggested. The vision, the 5th super power country of maritime and fishery in 2020, and 10th country of maritime technology level in 2020 and their details were proposed also. For achieving the vision, the resurrection of MOMAF is necessary and its reasons and 5 necessities were suggested. And the directions of the resurrection of MOMAF were proposed in terms of two viewpoints, policy/functional and institutional basis. I think Korea, the super power country of maritime and fishery, can be realized only when MOMAF may be resurrected.

바다를 지배한 민족이 세계를 지배한다고 로마의 키케로(Cicero)가 말했다. 세계사에서 중요 역할을 한 국가는 대부분 바다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페니키아, 그리스, 카르타고, 로마, 포르투칼, 스페인, 영국, 미국 등 세계는 바다를 지배해온 민족의 역사라 할 수 있다. 바다는 자원의 보고, 소통과 물류, 유통의 통로로 국가의 원활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터전이며 바다는 동시에 꿈과 상상의 장이며, 가능성과 비전의 토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양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의 실현을 위해 세계의 주요 국가와 역사를 개관하였다. 우리 주요 해양정책의 주요 이슈에 대한 실태와 전망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 해양강국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2020년 세계 5대 해양강국, 세계 10위의 해양과학기술 보유 등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세부추진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의 복원이 절실하며 그 이유와 필요성을 5가지 논리로 제시하였다. 또한 해양수산부의 복원의 향후 방향도 정책, 기능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해양강국 대한민국은 해양수산부가 향후 정부조직 개편에서 반드시 복원되야 실현될 수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호, 북극해 자연환경과 향후 전망,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해 변화와 대응방안 , KMI세미나자료집, 2008.11.5.
  2. 국토해양부, 해양과학기술 중장기계획(2009-2013)
  3. 구종순.조성원, "우리나라 해운업의 육성방향에 관한 연구", 해운학회지, 제3호, 1986.10.
  4. 김기범, "항만물류와 항만정책의 동향에 따른 우리나라 항만의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해운물류연구, 제45호, 2006.6.
  5. 김성귀 외, 국제 해양주도권 확대방안 연구(I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12.
  6. 김천식, "장보고의 해상활동의 범위와 역사적 의의", 해운학회지, 제41호, 2004.6.
  7. 김홍섭, "우리나라 해양문화의 도입과 확장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4호, 2010.
  8. 김홍섭, "크루즈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08.12.
  9. 나홍주, "상선(商船) 및 해군력이 우리나라 역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소고", 해운학회지, 10호, 1990.5.
  10. 윤희숙, "글로벌 항만경쟁 환경의 급변에 다른 코피티션 전략활용 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3호, 2007.9.
  11. 이원철, "우리나라 해운 행정 편제에 관한 소고", 해운학회지, 1987.11.
  12. 이원철, "우리나라에서의 해사행정 (海事行政) 일원화 논의에 관한 고찰", 해운학회지, 제17호, 1993.12.
  13. 폴 케네디, 강대국의 흥망(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 한국경제신문사, 1990.
  14. 최재선 외,해양 GNP시대실현을 위한 해양기반 신국부 창출 전략,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12.
  15. 최재수, "우리나라 해운력의 제4군화를 위한 연구 - 미국의 국방과 해운의 연계정책과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해운학회지, 제12호, 1991.5.
  16. 시민의식조사.㈔부산발전시민재단.부산항 발전협의회.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2010.5.11
  17. 한국은행,산업연관표 2007, 2009.
  18.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국토해양부, 제1회 한-중남미 해양과학기술 협력 워크숍 자료, 2008.9.24.
  19. 해양수산부, 미래 국가해양전략, 2008.
  20. Marine Institute, Marine Industries Global Market Analysis, 2005.3.
  21. 中國, 國務院, 國家 海洋産業發展計劃要綱('01-'10)
  22. 中國, 國務院, 第11次 5個年 計劃('06-'10)
  23. FMC, Ocean Act, 2000 & An Ocean Blueprint for the 21st Century), USA.
  24. 日本, 運輸省, 海洋基本法(2007) , 海洋 基本計劃 Apollo, Poseidon 構想(2008).
  25. 위키피디아(http://www.wikipedia.org/) 관련 자료
  26. 여수 국제엑스포 ( http://www.expo2012.kr/)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