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On-site Improvement Area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 Daegu

대구시 주거환경개선사업 현지개량지구의 실태에 관한 연구

  • 김한수 (계명대학교 건축학대학 도시계획학과) ;
  • 김철수 (계명대학교 건축학대학 도시계획학과)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1.03.07
  • Published : 2011.04.25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n-site improvement area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on-site and questionnaire survey in case of Daegu.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complain about delay of project completion because a long time has been passed after on-site improvement area was designated. Experts and government officials agree that a new method of development is required. Second, future development should discriminate on-site improvement area according to its level of project completion. The area should be classified into project completion areas and on-going area, and new methods, such as redevelopment, apartment-housing construction method, should be allowed. Third, for better management of on-site improvement area, laws and regulations must be ready and government's will for improvement is crucial.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웅 (200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방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성남.
  2. 김명선 (2004). 노후불량주거지 정비제도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3. 김철홍 (1996). 현지개량사업의 환경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논문집, 34, 95-107.
  4. 김한수 외 (2009). 주거환경개선사업 현지개량지구 관리방안 연구. 대구: 대구광역시.
  5. 노윤석 (200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계획요수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6. 대구광역시 (2006). 2010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7. 서수정 외 (2006). 현지개량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비수법 및 모델개발. 주택도시연구원, 경기도.
  8. 임계호 (2004). 주거환경정비에서 공공의 역할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 서울.
  9. 손경환 (1997). 주거환경개선사업 개선방안. 안양: 국토연구원.
  10. 송영섭 (1994). 현지개량방식에 의한 주거환경개선사업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환경개발연구논문집, 1996(1), 147-160.
  11. 최주영.양동양 (1993).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세입자 수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공학논집, 34, 8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