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재활용 기반시설에서 발생하는 선별 잔재물의 자원화를 위한 도시생활폐기물과의 혼합소각 가능성 평가

Feasibility Evaluation of Co-Incineration with MSW for Efficient Recycling of the Rejects after Separation Processes in MRF

  • 신택수 (동림건설기술(주) 기술개발연구소) ;
  • 성백남 (GS건설 발전환경사업본부) ;
  • 연익준 (충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 조병렬 (충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광렬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Shin, Taek-Soo (Technical Development Institute, DONGLIM Construction & Engineering Co., Ltd.) ;
  • Sung, Baek-Nam (Power & Environmental Division, GS Construction Corp.) ;
  • Yeon, Ik-J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 Byung-Yeo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g-Y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3.23
  • 심사 : 2011.10.26
  • 발행 : 2011.10.31

초록

본 연구는 재활용 기반시설에서 발생하는 선별 잔재물을 자원화 하기 위해 가연성 생활폐기물과 혼합하여 도시폐기물 소각로에서 소각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선별 잔재물을 대상으로 성상과 조성, 삼성분, 발열량을 조사하여 가연성 생활폐기물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고, 도시생활폐기물 소각로에서 가연성 폐기물과 함께 혼합소각 함으로써 연소특성과 오염물질 배출특성 변화에 대해 실험하였다. 연구결과 재활용 기반시설 선별 잔재물이 가연성 생활폐기물에 비해 발열량(5,865 kcal/kg)이 높고, 수분과 회분 함량은 적었다. 또한, 재활용 기반시설 선별 잔재물을 30%와 50% 혼합하여 연소시킬 경우, 가연성 생활폐기물만을 연소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먼지(dust), $SO_2$, $NO_2$, CO 농도 변화는 크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현행 배출 허용기준을 만족하였다. 다만, 재활용 기반시설 선별 잔재물을 50% 혼합소각할 경우, HCl 농도(최고 33.7 ppm)가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므로 30%까지 혼합하여 소각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fuel resource by incinerating a mix of combustible MSW (municipal solid waste) and offals after separating recyclable material at the MRF (material recovery facilities) location. We analyz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the 3-contents, the calorific value,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eparation rejects in MRF,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combustible MSW. Moreover, we experimented the trend of combustible properties and the concentration change of air pollutants at mixed incineration in the MSW incinerato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separation rejects showed higher heating value (5,865 kcal/kg), and lower moisture and ash content than combustible MSW. Since we have incinerated MSW in the MSW incinerator mixing the offals at 30% and 50% respectively, we know that the change of the concentration of dust, $SO_2$, $NO_2$, and CO did not appear significant, and not exceed the pollutants emission regulation. But, considering the enhancement of the HCl emission concentration (max. 33.7 ppm) at the co-incineration of the 50% offals, we believe that the proper mixing ratio of the separation rejects would become within 30%.

키워드

참고문헌

  1. 환경부, 한국환경자원공사,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2009).
  2. 윤용승, "폐기물 에너지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소각기술협의회 2008 춘계기술워크샵 자료집, 한국과학기술회관, 서울(2008).
  3. 환경부, 재활용품 집하선별시설 점검표, 환경부 자원재활용과(2006).
  4. 환경부,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 수정계획 제2차:2002-2011, 환경부(2007).
  5. 최용준, 김우현, 장정국, 이제근, "유동층 소각로에서 폐유-하수슬러지의 혼합소각 특성," 대한환경공학회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제주대학교, 제주, pp.141-144(1994).
  6. 송상훈, "유동층 소각로를 사용한 하수슬러지와 도시쓰레기의 혼합소각기술 및 운용사례," 한국폐기물학회 2004년 추계특별심포지엄 논문집, 한국폐기물학회, pp.179-195(2004).
  7. 정상순, "스토카소각로를 사용한 하수슬러지와 도시쓰레기의 혼합소각기술 및 운용사례," 한국폐기물학회 2004년 추계특별심포지엄 논문집, 한국폐기물학회, pp.197-216(2004).
  8. 배성근, "생활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혼합소각 기술동향," 유기물자원화, 14(1), (2006).
  9. 환경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환경부령 제391호), 환경부(2010).
  10. 환경부, 폐기물공정시험방법개정(환경부고시 제2007-151호), 환경부(2007).
  11. 김광렬, 연익준, 최신 연소공학, 동화기술(2005).
  12. 송동근, 김승도, 장은석, 박종호, 정재성, 공성호, "춘천시 생활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20(8), 807-817(2003).
  13. 김정권, 김석구, 박남배, "매립장의 생활쓰레기의 화학적 특성 및 침출수 수질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21(6), 607-617(2004).
  14. 이준흥, 문동호, 김재원, "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되는 쓰레기의 성상 및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폐기물학회지, 17(3), 363-369(2000).
  15. Bagchi, Amalendu, Design of Landfills and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John Wiley & Sons(2004).
  16. 임계구, "폐기물 소각시설 분석과 소각로 선정,"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1(2), 107-117(1995).
  17. Uchida, S., Kamo, H., Kubota, H. and Kanaya, K., "Reaction Kinetics of Formation of HCl in Municipal Refuse Incinerators," Industrial Eng. Chem Process Des. Dev., 22(1), 144(1983). https://doi.org/10.1021/i200020a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