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의 타인의식형 집단문화와 위조명품 브랜드 구매행동

The Influences of Chinese Interpersonal Culture on Counterfeit Brand

  • 김주호 (명지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투고 : 2010.12.27
  • 심사 : 2011.05.20
  • 발행 : 2011.07.31

초록

불법 위조품은 아이디어를 내어 제품을 개발하고 투자하는 건전한 기업에 손해를 입히고 신제품 개발에 의지를 꺾는 등 사회적으로 큰 해악을 끼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경제 성장과 동반 성장한 위조품의 규모와 내용 때문에 중국 위조품은 세계적인 문제가 되었다. 위조품은 판매자나 구매자나 모두에게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위조품거래 참여자 중 위조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의 시장 환경에서 위조품을 구매하는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문화를 포함한 가치체계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예상했던 것처럼 중국 소비자의 경우, 집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성향이 큰 소비자일수록 제품의 소비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알리는 명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다. 그리고 제품에 대해 인지도가 높을수록 제품에 대한 관여도도 높았으며,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일수록 진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진품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오히려 위조품도 선호한다는 의외의 결과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 집단에 의해 영향받는 정도, 인지도, 관여도는 명품위조품의 구매행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국의 문화가 유교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사회적 지위, 신분을 과시하고자 하는 문화 현상 속에서, 명품을 소비하는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 중에 일부 왜곡된(윤리의식 부재로)인식이 위조품의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위조품이 소득이 낮은 소비자가 위조품을 소비할 것이라는 인식이 틀렸음을 의미한다. 위조품은 오히려 진품의 가치를 알고 있는 소비자들에 의해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가격의 높고 낮음은 절대 가격이 아니라 소비자가 제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의해, 즉 소비자가 느끼는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위조제품의 구매는 가격보다 비가격요인이 더 영향을 미친다는 기타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위조품은 자국 내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전 세계 유통질서를 어지럽혀 세계 여러 나라와 통상마찰을 일으키고 국가 신용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사안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계 위조품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중국, 그리고 중국의 위조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위조품의 구매과정을 이해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위조품과 관련된 중국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였다는 것 뿐만 아니라 기업의 마케터와 정책입안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The Chinese counterfeits has begun to gain great attention recently because of the drastic increase in its volume. The consumption of counterfeit harms to manufacturer who spend millions of dollars to create and develop new product. The counterfeits in Chinese can cause international dispute and lower national repu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if the buyers of counterfeits tend to care more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n non-buyers among Chinese.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Chinese consumer living in Beijing, Shanghai, and Guangzhou metropolitan area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48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In analyzing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attitude toward counterfeits wa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ception, and involvement. It is general belief that attitudes toward counterfeits were correlated with on brand attachment, however this study show that the buyers of counterfeits tended to purchase counterfeit goods as more alternatives of genuine(original) product than non-buyers. Perhaps, the buyers of counterfeits tended to have lower consumer ethics than non-buyers because they value counterfeit high.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both a producer and a buyer violate the laws, but they are rather generous for buy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consumers' attitude towards counterfeit need to be changed, following consumer education and strict law enforcement. Based on these results, global brand marketing strategies for luxury goods were sugges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