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Data Synchronization Server supporting OMA DS Standards

OMA DS 표준을 지원하는 자료동기화 서버 구축 및 적합성 검증

  • Received : 2010.11.18
  • Accepted : 2011.02.13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In this paper, a DS (Data Synchronization) server for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is constructed and the suitability and the performance of its operations are validated. The DS server provides a way to update the newest data and keep data consistency for clients (mobile devices). In addition, the DS server constructed in this paper supports various synchronization types, and detects all changes and conflicts. In case of data conflicts, the DS server resolves the conflicts according to the several policies implemented in this work. The DS server conforms to the OMA(Open Mobile Alliance) DS standard protocol for interoperability with other mobile devices and servers.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by record scheme proposed by the OMA DS standard protocol, the DS server constructed in this paper also provides the transmission-by field scheme for the enhancement transmission performance between the server and clients. In order to validate its operations,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DS server and the SCTS (SyncML Conformance Test Suit), the suitability validation tool provided by the OMA, is performed. The validation results show that the DS server constructed in this paper satisfies all of the test cases except the Large Object function. The Large Object function will be implemented later because the function is not needed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process which this paper aims for. Also, synchronization times of the DS server are measured 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data and clients.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s demonstrate that the DS server is scalable, in the sense that it has not suffered from any serious bottleneck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data and clients. We expect that this work will provide a framework for various studies in the future for improving mobile DS operations.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통신 환경을 위한 자료동기화 서버를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서버의 적합성 및 성능 검증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구축한 자료동기화 서버는 클라이언트(모바일 단말기)가 최신의 자료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자료의 일치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자료동기화 타입을 제공하며, 자료의 변경 및 충돌을 탐지하고 충돌 발생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제공한다. 게다가, OMA(Open Mobile Alliance) DS(Data Synchronization) 프로토콜을 준수함으로써, 상호 호환성을 보장하도록 설계 구현되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자료동기화 서버들이 사용하는 레코드 단위 전송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필드 단위 전송 방식도 지원하도록 구현되었다. 구축된 자료동기화 서버의 기능 및 성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OMA에서 제공하는 적합성 검증 도구인 SCTS(SyncML Conformance Test Suit)와의 동기화를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상황에서 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검증 결과, SCTS 항목 중 대용량 오브젝트 기능을 제외한 모든 검증 항목을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대용량의 오브젝트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기능은, 개인정보 동기화 목적의 본 연구에는 필요치 않아 구현하지 않았으며, 향후 구현할 예정이다. 서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동기화 소요시간 측정 결과, 본 논문의 자료동기화 서버는 동기화 자료 및 클라이언트 수의 증가에 따른 동기화 소요시간의 증가가 완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확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제안된 서버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SCTS 서버, Synthesis와 성능을 비교 한 결과, SCTS 서버에 비해 제안된 서버를 사용하였을 때가 동기화에 요구되는 시간이 더 짧음을 알 수 있었다. Synthesis 서버와 비교해보면, 제안된 서버가 더 많은 동기화 소요시간을 요구하지만, 동기화 할 자료의 수가 많고 동기화 대상 자료(레코드)의 일부 필드만 변경된 상황에서는 제안된 서버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제안된 서버는 기존의 자료동기화 서버들과 비교해 동일하거나 추가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동기화 자료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줌을 뜻한다. OMA DS를 준수하는 자료동기화 서버를 직접 구축해봄으로써, 향후 모바일 DS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의 기초 프레임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ctiveSync, http://www.microsoft.com/windowsmobile
  2. HotSync, Introduction to Coduit Development http://www.accessdevnet.com/docs/conduits/ win
  3. OMA DS, http://openmobilealliance.org
  4. djjang et al., "Data-Synchronization Gateway based on SyncML for an ActiveSync Data Trans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7, No. 3, pp. 61-69, Jun. 2006.
  5. djjang and khpark, "A Gateway System for Integrated Data Synchronization Based on SyncML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Various Mobile Terminals",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14, No. 2, pp. 117-129, Apr. 2008. https://doi.org/10.1007/978-3-540-87477-5_13
  6. jgpak et al., "Construction of Embedded Data Synchronization Gatewa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ol. 14, No. 2, pp. 335-342, Feb. 2010. https://doi.org/10.6109/jkiice.2010.14.2.335
  7. Synthesis Server, Synthesis AG, http://www.synthesis.ch
  8. jgpak et al., "Design of a Data Synchronization Server for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1, pp. 17-26, Feb. 2010
  9. SCTS, SCTS Ver 1.1.2, http://sourceforge.net/projects/oma-scts
  10. OMA TestFest, http://www.openmobilealliance.org/TestFests
  11. OMA Data Synchronization Protocol Spec. Ver.1.2.2., http://www.openmobilealliance.org, 2009.
  12. Trachtenberg, A. et al., "Fast PDA Synchronization Using Characteristic Polynomial Interpolation", Proc. Annual Joint Conference of the IEEE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ocieties, New York, pp. 1510-1519, Nov. 2002.
  13. Starobinski, D. et al., "Efficient PDA Synchronization",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Vol. 2, No. 1, pp. 40-51, Jan. 2003. https://doi.org/10.1109/TMC.2003.1195150
  14. Fan, L. et al., "Summary Cache: A Scalable Wide-Area Web Cache Sharing Protocol", Proc. ACM SIGCOMM '98 conference on Applications, technologies, architectures, and protocols for computer communication, pp. 281-293, Aug.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