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Question-Creation Training on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Question Levels

문제생성훈련 수업이 중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및 문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12.23
  • Accepted : 2011.04.19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with question-creation training, compared with traditional science instructions. The instruction with question-creation training is to give students chances to make questions by themselves based on what they learned before the end of the classes. The four effects of the instruction were studied: students' achievement,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the questions created by the students according to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Research data was gathered from 65 second 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Busan. The comparative group was instructed in traditional lecture-type teaching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with questioncreation train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to make 3 questions by themselves and then, to solve their peers' questions about 15 minutes before the end of the classes. Both group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proficiency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ast semester's science test. Before the research, a metacognition test and a self-efficacy test were conducted. After the research, an achievement test, a question level test, a metacognition test, and a self-efficacy test were conducted and analyzed by t-test. The research data for question level was analyzed by one-way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question-cre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 metacognition, and self-efficiency. It also showed most of the students have gained an ability to make higher-level questions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level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students who made higher-level questions. It also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could gain an ability to make higher-level questions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level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made higher-level questions increased in every proficiency level.

이 연구는 과학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와 질문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문제를 만들어보게 하는 훈련을 실시한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과 비교해 학업성취도, 메타인지,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요소들과 함께 만들어낸 문제의 수준이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남자 중학교 2학년 65명을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비교 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수업이 끝나기 전 15분 정도 1인당 3개의 문제를 스스로 만들어보고 동료 간에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는 문제생성훈련을 통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실시된 형성평가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상위 중위 하위의 3개 집단으로 나누고 사전 메타인지 검사와 자기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가 끝난 후에는 학업성취도 검사, 메타인지 검사, 자기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문제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일원공변량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문제생성훈련은 메타인지나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상위수준의 문제를 만드는 학생들의 수가 점차 많아짐을 통해 학생들은 성취수준에 상관없이 보다 많은 사고를 필요로 하는 좋은 문제를 만들어 내는 능력을 획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 김아영(2007). 학업적 자기효능감. 서울: 학지사.
  3. 김애경(1996). 메타인지 훈련이 귀인양식 자기효능감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경순, 왕혜남, 노태희(2007). 상호동료교수 전략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이 과학 성취도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180-189.
  5. 김성근(1998). 학생 질문을 강화한 과학 수업의 효과 - 중학교 2학년'화학 변화와 원소'단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숙(2000). 전문인의 물리문제 풀이 방략 가시화 연습을 통한 대학생의 질문 향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박은주(1998). 교실 수업에서 안내된 상호 질문 활동이 중학생의 힘 관련 단원 학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연호(2009). 학생들의 질문생성을 강화한 초등과학 수업의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우미(2004). 교육용 게임 기반 학습에서 메타인지 및 몰입 수준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윤옥(1999). 수업과정에서 학습자간 질문 생성 전략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이윤옥(2001). 또래 튜터링 질문생성이 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5(4), 423-440.
  12. 이윤옥(2001). 학습자의 질문생성 훈련이 정보이해와 개념구조화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 28(1), 143-163
  13. 이지혜(2005).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정은정(2008). 중학생의 학생상호질문생성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택희(1987). 수업외 학습시간 투입의 동기요인과 효과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미경(2008). 중학교 생물수업에서 문제중심 학습이 메타인지수준에 따라 문제해결과정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Brown, A. L.(1980). Metacognitive development and reading. In Spiro, R. J. Bruce, B. C. & Brewer W. F. (Eds) Theoretical issues in reading comprehension,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8. Chin, C. & Brown, D. E.(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 a meaningful aspect of lear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521-549.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5249
  19. Cuccio-Schirripa, S. & Steiner, H. E.(2000). Enhancement and analysis of science question lev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210-22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200002)37:2<210::AID-TEA7>3.0.CO;2-I
  20. King, A.(1990). Enhancing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through reciprocal questio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7(4), 307-317.
  21. King, A.(1994). Guid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Effects of Teaching Children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2), 338-368. https://doi.org/10.3102/00028312031002338
  22. Maskill, R. & de Jesus, H. P.(1997). Pupils' questions, alternative frameworks and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781-799.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704
  23. Printrich, P. R. & De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24.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 Jacobs, B.(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25. White, R. T. & Gunstone, R. F.(1992). Probing Understanding. London: The Falmer Press.

Cited by

  1. 과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vol.31, pp.6,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6.958
  2. STEAM 프로그램의 문제해결활동이 중학생의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vol.40, pp.1, 2011, https://doi.org/10.21796/jse.2016.40.1.17
  3. The Effects of Learner Grouping Types on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s in the Primary English Class Employing Reciprocal Questioning Techniques vol.32, pp.3, 2011, https://doi.org/10.16933/sfle.2018.32.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