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Justification Process in the Proofs by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수학 영재 교육 대상 학생의 기하 인지 수준과 증명 정당화 특성 분석

  • Received : 2011.03.18
  • Accepted : 2011.04.2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geometrical level and the justification process in the proofs of construction by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Justification is one of crucial aspect in geometry learning. However, justification is considered as a difficult domain in geometry due to overemphasizing deductive justification. Therefore, researchers used construction with which the students could reveal their justification processes. We also investigated geometrical thought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van Hieles's Theory. We analyzed intellectual of the justification process in geometric construction by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18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wed their justification processes when they were explaining their mathematical reasoning in construction. Also, students used the GSP program in some lessons and at home and tested students' geometric levels using the van Hieles's theory. However, we used pencil and paper worksheets for the analys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levels of van Hieles's geometric thinking of the most gifted students were on from 2 to 3. In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they used cut and paste strategies and also used concrete numbers and recalled the previous learning experience. Most of them did not show original ideas of justification during their proofs. We need to use a more sophisticative tasks and approaches so that we can lead gifted students to produce a more creative thinking.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 영재 교육 대상 학생들의 기하 인지 수준과 그들이 증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논리적인 정당화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 영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A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하 수준을 확인하고 그들이 기하문제를 증명을 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어떤 논리적인 정당화를 해 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van Hieles의 기하 사고의 0수준부터 4수준 중에서 대부분 2∼3수준에 있었다. 그리고 증명의 정당화 과정에서 이 영재 교육 대상 학생들은 잘라 붙이기와 수치적 접근을 사용하려는 시도와 이미 선행으로 학습한 내용의 기억을 되살려 사용하는 예가 많았고, 독창적이고 일반적인 증명으로 이끌어가는 데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수학 영재 교육 대상자들을 위한 교육은 이들의 수준에 맞는 보다 정교화된 과제로 이들이 자신들의 증명의 정당화 과정을 인지하면서 보다 창의적이고 연역적 사고의 수준으로 이끌어 줄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김상미․박만구․백석윤․오영열 (2009).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2. 김선렬 (1992). 국민학교 기하학습에 van Hieles 이론의 적용을 위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라병소 (2001). 초등수학에서의 증명 지도에 관하여. 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 24, 25-35.
  4. 송상헌․장혜원․정영옥 (2006).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영재들의 기하 과제 증명 능력에 관하 사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4), 327-344.
  5. 신동선․류희찬 (1998). 수학교육과 컴퓨터. 서울: 경문사.
  6. 양규모 (2002). van Hieles 이론에 근거한 도형학습 수준 분석과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우정호 (1986). van Hieles 수학학습 수준이론에 대한 소고.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33, 85-103.
  8. 임해경 (2001). 초등수학을 위한 GSP자료와 활용방안. 수학사랑 제3회 MATH FESTIVAL 자료집, 368-378.
  9. 장병철 (1999). 한국.중국.러시아 수학 교과서의 증명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장혜원 (1997). 중학교 기하 영역 중 작도 단원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2), 327-336.
  11. 전현미 (1996). 기하 증명 과정의 오류 경향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정은실 (1995). Polya의 수학적 발견술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정수진 (2002). 작도 활동을 통한 중학교 평면도형의 지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한인기 (2002). 수학 영재 교육에서 기하학의 역할 및 지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 논문집. 18(2), 265-276.
  15. 한태식 (1991). 기하교육과 van Hieles이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 논문집. 9, 153-164.
  16. 홍진곤․권석일 (2004). 전형식적 증명의 교수학적 의미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 43(4), 381-390.
  17. Lakatos, I. (1976). Proofs and refutations: The logic of mathematical discovery. Cambridge, London: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19. Polya. G.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원본은 1945년에 출간됨). 서울: 천재교육.
  20. Schoenfeld, A. (1986). Exploration of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and behavior.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4), 338-355.
  21. Small, M. (2009). Good questions: Great ways to differentiate mathematics introduc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22. van Hieles,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Academic Inc.

Cited by

  1. 예비 초등 교사의 도형 분석 능력 신장을 위한 GSP 작도의 활용 vol.17, pp.2, 2011, https://doi.org/10.7468/jksmec.2014.17.2.127
  2.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van Hiele Levels vol.55, pp.3, 2011, https://doi.org/10.15812/ter.55.3.201609.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