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decentralized options of the in-stream flow for restoring the Gyobang cheon: application of the Urban Volume and Quality (UVQ) model to examine feasibilities in water quantity and quality

교방천 복원을 위한 분산형 유지유량 확보 방안 연구 (I): 수량.수질 타당성 검토를 위한 도시 물순환 모형 적용

  • Published : 2011.10.15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of examining technical feasibility of supplying the in-stream flow for the Gyobang cheon by using treated water from smal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s a decentralized option. To do this, the water and contaminant flow in study areas of the Gyobang cheon are defined from the context of the integrated urban water cycle, and analyzed by using the Urban Volume and Quality (UVQ) model. First, the UVQ model was built for the study areas of the Gyobang cheon and calibrated with observation data. Second, the decentralized options of the in-stream flow was explored with consideration of availability of water sources. The UVQ simulation then led to selecting the best option which would meet the criteria of water quantity and quality. It was finally concluded that using water sources out of study areas 1 and 2, adjoining the upper part of the Gyobang cheon, in the decentralized manner can be a feasible option for in-stream flow. It also seems that the UVQ model is useful to understand the water cycle in study areas of the Gyobang cheon.

Keywords

References

  1. 고익환 외 (2007) 자연.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보고서, 건설교통부
  2. 고성훈, Sheeraz Amed Memon, 이창희 (2009) 경안천지역의 도로 및 주차장에 대한 강우유출수의 특성분석과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5(5), pp.689-696
  3. 국가환경정보센터 웹사이트, < http://www.konetic.or.kr/ >
  4. 기상청 (각년도) 기상연보
  5. 김상욱 (2010) 도시하천의 건천화 방지를 위한 물순환 건전화 대책, 국회입법조사처, NARS 현안보고서, 제 101호
  6. 김현준, 김혜주, 엄향의, 김윤영 (2004)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 -청계천 복원공사 모니터링 및 물순환 해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경계획연구소, 기상연구소, 중앙대학교,
  7. 김형국, 구본학 (2010) 청계천 복원 후 3년간 식물상 변화,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6), pp.107-115
  8. 김화수, 이두진, 김주환, 정관수 (2008)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 원단위 분석, 대한토목학회, 28(5B), pp.595-601
  9. 대한주택공사 (2005) 부산정관 하수종말처리시설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10. 대한주택공사 (2007a) 군포 부곡지구 하수종말처리시설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11. 대한주택공사 (2007b) 남양주 가운지구 하수종말처리시설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12. 마산시 (2010) 최종 방류수를 이용한 생태하천 유지용수 확보계획 타당성 조사 보고서
  13. 물환경정보시스템 웹사이트
  14. 박노석, 채선하, 김정현 (2011) 분산형 용수공급시스템의 소개, 상하수도학회지, 기술정보, 25(2), pp.133-138
  15. 박현찬 (2009) 한강지천의 르네상스: 물을 매개로 한 도시기능의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SDI 정책리포트, 제50호
  16. 송주일, 이준호, 윤세의 (2008) 도시하천의 복원과 관리를 위한 하천평가기법 개발, 대한토목학회, 28(3B), pp.283-296
  17. 이기영, 김지영 (2003) 경기도내 하천의 건천화 방지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8. 이주영, 김동근, 忌部正博, 한무영 (2010) 도시하천 건천화 방지를 위한 하천 유지용수 확보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경기개발연구원, GRI 연구논총, 12(1), pp.179-194
  19. 이두진, 김주환, 김화수 (2009) 비가정용수의 업종별 사용량 원단위 및 통계적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9(4B), pp.385-396
  20. (주)경진엔지니어링 (2010) 교방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기본계획보고서, 마산시
  21. (주)삼안, (주)화성엔지니어링 (2011) 교방천 생태하천복원사업 실시설계 용역 -유지용수확보방안-
  22. 최승담, 오훈성 (2008) 청계천 방문이 서울시 관광 이미지에 미치 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9(4), pp.41-52
  23. 한범수, 김희영, 박상훈 (2008) 관광 상품화를 위한 "테마관광벨트" 구축 가능성 탐색 -청계천 테마거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경기관광연구 제 11 호
  24. 환경부 (2006)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
  25. 환경부 (2010) 상수도 통계 2009
  26. 황병기, 이재식 (2005) 홍제천의 건천화 방지 및 유지용수 확보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공학기술 연구소
  27. 황병기 (2006) 강우시 도시지역 강우 유출수 오염부하 기원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7(5), pp.930-934
  28. Goran V., Petra S., Miran V. and Barbara C. C. (2009) Determination of urban groundwater pollution in alluvial aquifer using linked process models considering urban water cycle, J. Hydrol., 377, pp.261-273 https://doi.org/10.1016/j.jhydrol.2009.08.025
  29. Mitchell V. G. and Diaper C. (2005) UVQ: A tool for assessing the water and contaminant balance impacts of urban development scenarios, Water Sci. Technol., 52(12), pp.91-98
  30. Mitchell V. G. and Diaper. C (2006) Simulating the urban water and contaminant cycle, Environ. Modell. Softw., 21(1), pp.129-134 https://doi.org/10.1016/j.envsoft.2005.03.003
  31. Rueedi J., Cronin A. A., Boon B., Wolf L. and Hoetzl H. (2005) Effect of different water management strategies on water and contaminant fluxes in Doncaster, United Kingdom, Water Sci. Technol., 52(9), pp.115-123
  32. Sandra E. M., Oscar E. and Lief W. (2011) Total urban water cycle models in semiarid environments-Quantitative scenario analysis at the area of Sa Luis Potosi, Mexico, Water Resour. Manage., 25(1), pp.239-263 https://doi.org/10.1007/s11269-010-96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