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Approach to Double Dividend Hypothesis of Environmental Taxes: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Labor Market

환경세 정책의 이중배당가설에 대한 새로운 접근: 노동시장의 변화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7.19
  • Accepted : 2011.08.3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double dividend hypothesis of environmental taxes has been a very widely debated research topic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mid-80s. Unlike the second generation studies, which stated that the double dividend environmental taxes were impossible to realize, the third generation researchers of today are focused on assumptions or conditions that make the hypothesis viable. The third generation studies state that the double dividend hypothesis is possible through functional form assumption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axes levied on polluting goods and the overall tax efficiency of the initial tax systems. The most notable, however, is the fact that the working mechanisms of third generation studies, upon closer inspection, give homogeneous effect on the labor markets, although at first glance the third generation studies take seemingly unrelated approaches. This thesis stems from such idea, and it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taxes on the labor market. After a thorough analysis, the results match the intuition, as the viability of the double dividend hypothesis of environmental taxes largely depends on the effects that policy changes generate on the labor market. In order for the hypothesis to be plausible, environmental tax policies have to increase the labor supply.

환경세의 이중배당가설은 1980년대 중반 처음 제기된 이래, 최근까지 그 실현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매우 활발한 연구주제이다. 이중배당가설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였던 2세대 연구들과는 달리, 3세대 연구들은 가설이 실현될 수 있는 조건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3세대 연구들은 함수적 가정이나 환경세 부과대상 재화의 성질, 그리고 초기 조세체계에 대한 가정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중배당이 가능함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3세대 연구들은 외형적으로 전혀 다른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 작동기제를 살펴보면 노동시장에 유사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수행되었으며, 환경세 정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이론적, 수리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는 이와 같은 이론적 직관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중배당가설의 성립 여부는 정책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가설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환경세 정책이 노동공급의 증가를 유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