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erging Issues of East Asian Fisheries in Conjunction with Changes in Climate and Social Systems in the 21st Century

21세기 기후 및 사회체제 변화와 관련하여 동아시아 수산활동에서 떠오르는 사안들

  • Kim, Suam (Dep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ow, Loh-Lee (Alaska Fisheries Science Center,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 김수암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 Received : 2011.06.13
  • Accepted : 2011.08.3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fisheries in East Asia are reviewed in conjunction with climate change and social-economic developments in the 20th century. About one third of the human population resides in this region, producing a large share of the world's fisheries products, consuming them, and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international trade of the products. Ongoing local and global climate changes, as well as ocean warming and acidification, are anticipate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fisheries. Frequent typhoons have brought untold calamities and miseries to coastal communities. The rate of environmental change is outpacing our ability to respond effectively. The science must now move beyond identifying issues and toward providing sound bases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olutions, including effective adapta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Fisheries management plans must be made to consider both changes in climate and social systems. It seems logical that an international forum should be made available to coordinate scientific research,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region's fishery resources.

2000년대 초반의 동아시아 수산활동을 기후변화와 사회경제적 개발과 연관하여 연구하였다. 세계 인구의 약 1/3이 동아시아 지역에 살고 있는데, 이들은 많은 수산물을 생산하고, 소비하며, 국제무역에 기여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전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와 더불어 해수의 온난화 및 산성화는 수산생물과 수산업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동아시아 지역의 잦은 태풍은 연안의 사회집단에 막대한 손실과 희생을 유발할 것이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속도는 우리가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 벅찰 정도로 빠르게 진행 중이다. 과학적 활동은 기후변화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찾아내고, 더 나아가 효과적인 해결책을 만들기 위한 기본 지침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수산관리 계획은 기후변화와 더불어 사회체제의 변화를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해역에서 공동과학연구를 추진하고, 수산자원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국제적 공조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는 제안은 매우 논리적이다.

Keywords